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업 호감도 다시 뒷걸음질

상의 조사결과…50점 밑으로

기업활동 전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다시 나빠졌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8일 현대경제연구원과 공동으로 ‘2007년 상반기 기업호감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호감지수(CFI)가 100점 만점에 48.1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일반 국민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지수화한 CFI는 ▦국가 경제 기여도 ▦윤리경영 ▦생산성 ▦국제경쟁력 ▦사회 공헌 등 5대 요소와 전반적 호감도를 합산해 점수화한 수치다. CFI지수는 지난 2003년 말 첫 조사에서 38.2점을 기록한 이후 44.4점(2004년 12월), 48.5점(2005년 11월)으로 높아진 뒤 지난해 말 50.2를 기록, 처음으로 50점을 넘었지만 상반기 조사에서 다시 50점 밑으로 떨어졌다. 올 상반기 CFI를 5대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국제경쟁력(68.0점)과 생산성 향상(59.4점), 국가 경제 기여도(51.6점)는 평균 점수를 웃돈 반면 사회 공헌활동(37.4점)과 윤리경영(18.8점)은 평균을 밑돌았고 특히 지난해 말과 비교해 생산성지수와 사회공헌지수가 비교적 큰 폭인 4.3점과 3.8점씩 떨어졌다. 상의는 “생산성지수의 하락(63.7→59.4)은 노동원가를 비롯한 국내 생산 여건의 매력도가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비정규직 문제가 불거져 전반적으로 노동 탄력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또 사회 공헌지수의 하락(41.2→37.4)은 기업의 사회 공헌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에게 알려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를 ▦국가 경제 기여(37.4%) ▦일자리 제공(33.8%) ▦국위 선양(16.7%) 등을 꼽았고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로는 ▦비윤리경영(26.8%) ▦경영권 세습 등 족벌경영(26.1%) ▦근로자 희생 강요(14.4%) 등을 들었다. 기업활동의 우선순위에 관해서는 ‘이윤 창출’이라는 응답이 59.6%로 조사됐으나 ‘부의 사회 환원’이라는 의견도 40.4%에 달했다. 부자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으로 조사됐다. ‘부자들이 부정적인 방법으로 부를 축적했을 것’이라는 의견이 67.3%나 된 반면 ‘정당한 방법으로 노력해서 부를 축적했을 것’이라는 견해는 32.7%에 불과했다. 부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임에도 기업에 대한 인식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경제성장에 기업의 역할이 매우 컸다’는 응답이 88.9%에 달했고 ‘경제성장의 주체’로 기업을 꼽은 응답자도 75.1%에 달했다. 국민들이 기업에 기대하는 구체적 역할로는 ‘고용 창출 확대(58.2%)’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경영 투명성 제고(20.5%)’, ‘정경 유착 단절(10.8%)’, ‘사회 공헌활동(10.1%)’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