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구제역 경보 최고 수준 '심각' 단계로 격상

범정부 차원 대책본부 구성<br>"뒷북 대처" 비난 목소리 커

맹형규(왼쪽) 행정안전부 장관과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29일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에서 구제역 방역대책에 대한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조영호기자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며 정부가 경보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높이고 범정부 차원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했다. 하지만 이미 구제역이 충남ㆍ전라 등을 제외한 5개 시도로 확산돼 뒤늦은 대처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정부는 29일 서울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구제역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정부 합동 담화문을 발표했다. 가축전염병으로 위기대응 경보가 심각 단계까지 높아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해 중앙 및 지방정부의 공무원은 물론 경찰력까지 동원해 구제역 방역에 나설 계획이다. 또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들도 방역체계를 갖추도록 해 전국을 구제역 방역체제로 전환했다. 예방백신 접종도 12개 시군 8,724농가 23만6,494마리로 늘렸다. 그러나 구제역이 이미 전국으로 확산된 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의 대책마련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당초 경북 지역에만 실시했던 백신접종도 대상 지역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방역과정도 한파에다 방역 현장요원들의 피로가 누적되며 순탄치 않다. 지난 28일 경북 영양군 방역초소에서 근무하던 공무원이 사고를 당해 숨지고 백신접종을 하던 수의사가 소 뒷발에 이마를 차여 부상하는 등 방역 담당자들의 사고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방역당국은 아직까지 구제역 발생원인은 물론 전파경로도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한 상태여서 이대로 가면 전국이 구제역에 감염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한편 이번 구제역으로 2,236농가의 52만3,518마리가 살처분ㆍ매몰됐다. 맹 장관은 "앞으로 구제역이 축산 밀집지역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중앙과 지방이 범정부 대응체계를 중심으로 총력 대응할 것"이라며 "구제역은 인수공통전염병이 아니므로 인체에는 아무런 해가 없기 때문에 육류소비에 대해 국민들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