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 휴대전화산업 구조적 위기"

한국증권은 24일 한국 휴대전화산업이 구조적 위기에 봉착했다고 진단하고, 특히 부품 업체들은 전방 산업의 부진 등을 감안해 보수적인 접근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노근창 애널리스트는 "올해 세계 휴대전화 시장은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한 저가단말기 수요 확대와 유럽.북미 등 카메라폰 대체수요에 힘입어 지난해대비 10% 성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가운데 2004년까지 빠른 성장세였던 한국 휴대전화 산업은 차별화된 디자인과 모델 다원화 전략이 희석되면서 난관에 봉착했다"며 "이는 저가 단말기 출하량이 급증하고 있는 노키아, 모토롤라와 대비된다"고 말했다. 노 애널리스트는 "이에따라 저가폰 라인업이 없는 삼성전자가 올해는 처음으로 점유율이 떨어질 것"이라며 "일시적 성장통이 아닌 구조적인 위기"라고 평가했다. 그는 올해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의 출하량이 지난해에 비해 각각15.9%, 30.1% 늘겠지만, 원가 부담, 판매단가 하락, 원화강세 등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25.4%, 58.8%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따라 그는 LG전자의 6개월 목표주가를 8만9천원에서 8만4천원으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또 그는 부품 업체들에 대해 "수익성이 한계 상황에 도달해 추가 단가 인하 압력이 높지는 않지만, 밸류에이션 지표 악화와 전방 산업의 부진을 감안할 때 보수적인 접근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과매도 상태인 일부 업체들의 경우 높은 배당수익률과 밸류에이션 매력, 실적 모멘텀을 감안해 선별 접근은 유효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따라 그는 피앤텔[054340], 인탑스[049070], 한국트로닉스[054040]를 유망주로 꼽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