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샛길로 빠진 4대강 홍보

정부 부처에서 특정 사안을 놓고 매주 정례 브리핑을 여는 경우는 흔치 않다. 금융위기나 저축은행 사태와 같은 국민적 관심이 쏠린 급박한 사안 등 특별한 이슈가 있을 때에 국한되는 게 보통이다. 그런데 얼마 전부터 국토해양부 브리핑룸에서는 흔치 않은 광경이 벌어지고 있다.

언제부터인가 매주 월요일 오전10시면 4대강추진본부는 어김없이 정례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장관급인 4대강추진본부장뿐만 아니라 실국장, 과장들까지 대거 배석해 병풍처럼 둘러선다. 간혹 4대강 안전점검을 위한 민간합동조사단 구성과 같은 '내용 있는' 브리핑도 있지만 4대장 자전거길 인증제 시범운영과 같은 단신 수준의 보도자료까지 들고 와서 설명을 하기도 한다.


이 같은 4대강 홍보는 국토부 차원에서 머물지 않고 있다. 4대강 공사에 참여했던 민간 건설사들을 모아 대국민 홍보를 당부하는가 하면 최근에는 산하기관에도 SOS를 쳤다. 오는 22일 물의 날을 맞아 4대강 유역 환경 미화를 해야 하므로 산하기관 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형식은 자발적 참여지만 사후 실적 보고 때문에 해당 기관으로서는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20일에는 장관까지 나서 4대강변에서 직접 자전거를 타고 종주한 사람들에게 인증서를 주는 행사까지 치렀다.

관련기사



그러나 국토부가 전력하고 있는 일련의 홍보가 과연 국민이 진짜 알고 싶어하는 4대강 사업의 본질에 대한 것인지 의문이다. 22조원이나 되는 돈을 쏟아부어 단기간에 추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사업인지,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지가 진짜 알려야 할 대목이다. 자전거길이 좀 뚫렸다고, 캠핑장이 몇 곳에 세워졌다고 4대강 사업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바뀔 것으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사업 목적대로 홍수 예방과 가뭄을 해소에 큰 도움이 된다면 조만간 올 갈수기와 홍수기에 정비된 4대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두고 보면 될 일이다.

도대체 왜 이 시점에 전방위 4대강 홍보에 발 벗고 나서는지 이해하기 힘들다. 혹 그 이유가 20일 남짓 남은 총선 때문이 아니라면 말이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