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 김영필기자
“완전히 정치금융 판이에요.”
요즘 금융권에서는 어디 가나 정치금융 얘기다. 정치권에 몸담았던 이들이 금융권에 내려오거나 정치인에 줄을 대 내부인사를 좌우하려는 이들이 너무 많다. 선박금융공사 대신 수협 이전이 대안으로 나오듯 지역 민원 해결창구도 금융사다.
당장 17일 취임하는 문제풍 예금보험공사 신임 감사는 새누리당 후보로 제19대 총선에 출마했던 인물이다. 자산관리공사 감사로 온 정송학 전 광진구청장은 작년 총선에 새누리당 후보로 나와 “박근혜 위원장 쇄신정치에 당선으로 힘보태겠다”고 했다. 최근 기술보증기금에 감사로 입성한 박대해씨는 ‘친박연대’로 18대 국회의원이 된 사람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KB금융지주와 KB국민카드에는 한나라당에서 부대변인을 했던 김용수씨와 윤진식 전 의원 보좌관 출신 조상훈씨가 임원으로 있다. 박근혜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서도 일했던 양종오 전 새누리당 수석전문위원은 작년 4월 IBK캐피탈 감사로 옮겼다. 이재오 의원계로 분류되던 정태윤 전 여의도연구소 부소장도 IBK투자증권 사외이사에 올라있다. 대통령 선거 때 기여했다는 인물들이 “금융권 자리를 보장받았다”고 한다는 얘기가 업계에서 나오는 것을 보면 더 많은 당출신이 금융사에 내려오지 않을까 싶다.
정치금융이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더 노골적이다. 금융공기업을 비롯해 우리금융과 기업은행, KB금융처럼 외풍에 약한 곳일수록 더하다.
금융은 어디보다 전문성이 필수다. 다른 부처는 몰라도 금융위원회나 금감원 수장만큼은 항상 전문관료가 맡아왔다. 정치권 출신이 정무적 판단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건전성 감시와 내부통제에는 취약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인사가 무너지면 모든 게 끝이다. 한 현직 대기업 오너는 그룹 내 자리를 부탁하는 정치인에게 “돈은 모르겠지만 자리는 절대 안 된다”고 한다고 한다.
금융사들은 지금도 인사 때마다 직원들의 정치권 줄대기에 신음하고 있다. 이제는 정치금융을 정말 끊어야 한다. 정치금융에 금융한류는커녕 스스로 무너질 판이다. /susopa@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