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화번호부 입찰싸고 논란/금지업체 자금지원/편법참여 의혹제기

7대1의 경쟁률을 보이고 있는 한국전화번호부(주) 민영화 입찰에 본래 참여가 금지돼 있는 일부 기간통신사업자들이 비공식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진위불명의 주장이 일각에서 나오는 등 전화번호부 입찰경쟁이 과열양상을 드러내고 있다.한국전화번호부 민영화 입찰에 신청서를 제출한 모기업은 『신청한 컨소시엄중 A사, B사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이 E사, J사 등 기간통신사업자들로부터 컨소시엄구성과 관련해 자금을 지원받았다』며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 업체의 한 임원은 『이면계약을 통해 참여하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며 『심사과정에서 사실이 밝혀지지 않을 경우 증거자료를 수집해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화번호부 매각대상을 중소기업기본법이 정하는 중소업체로 한정하고 대기업이나 기간통신사업자들은 참여를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주장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상당한 진통이 일 것으로 보인다. 기간통신사업자들이 간접 참여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컨소시엄의 주도업체중에는 중도에 입찰참여를 포기했다 막판에 합류했다. 때문에 자금부족으로 참여치 않기로 했다가 기간통신사업자들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입찰에 나섰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특히 의혹을 받고 있는 A사의 한 관계자는 『통신업체인 E사가 오랫동안 전화번호부에 관심을 갖고 온 터여서 자연스레 협조가 이뤄졌다』고 말해 기간통신업체가 참여했음을 간접적으로 시인했다. 이에대해 정보통신부 윤재홍통신업무과장은 『기간통신사업자나 대기업의 입찰 참여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통신사업자의 참여여부는 심사과정에서 충분히 걸러질 것』이라고 말했다.<백재현 기자>

관련기사



백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