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74년 한·일 단교 직전까지 갔었다

정부 외교문서 공개… 朴대통령 저격사건 수사 갈등

74년 한·일 단교 직전까지 갔었다 정부 외교문서 공개… 朴대통령 저격사건 수사 갈등 • "육영수 여사는 누구 총탄에… " • "日 해명하도록 압력을" 美에 SOS 20일 정부가 공개한 박정희 저격사건 등 15권의 외교문서는 당시 정권이 일본으로부터 제대로 된 해명을 받기 위해 전방위적인 ‘외교 총력전’을 펼쳤음을 절절히 보여주고 있다.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수교를 단절할 수도 있다’는 등 강경한 입장을 견지했고, 미국에게 ‘SOS’를 요청하는 등 숨가쁜 외교전을 벌였다. 노신영 당시 외무차관은 사건 발생 하루 뒤인 74년 8월 16일 우시로쿠 주한 일본 대사를 외무부로 불러 일본 관계 당국이 문세광에게 요시이 유키오 명의의 일본 여권을 발급한 경위에 대한 일본 정부의 공식 해명을 요구하고 김호룡 조총련 오사카 정치부장 등 일본 내 공범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일본측이 수사 등에 대해 무성의한 태도를 보이면서 반일 여론이 거세지는 가운데, 기무라 당시 일본 외상이 8월 29일 참의원에서 “한국에 대한 북한의 위협이 없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발언해 반발을 더욱 부추겼다. 이에 따라 주일대사는 8월 31일 사토 전 수상을 방문해 일본 정부가 조총련의 해체할 것을 촉구하는 한편 외무부는 대만이 72년 9월 일본과 국교를 단절하기 전 대만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배경과 쌍방의 조치를 알아봤다. 한국 정부는 또 미국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다각적으로 일본을 압박했다.김동조 외무장관은 9월 2일 에릭슨 미국 대리대사를 비공개로 면담,미국 방문을 앞두고 있는 다나카 수상과 기무라 외상에게 한국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고 일본에 영향력을 행사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하비브 국무무 차관보는 9월 4일 “미국은 모두 우방인 두나라가 원만히 문제를 해결하기 바란다. 조용히 일본측의 답변을 기다리는 것이 상책”이라고 밝혔다. 그런데도 한국측이 계속 요청을 하자 하비브 차관보는 12일 격앙된 어조로 “미국은 할만큼 했다”며 단호히 거절하면서 “한국의 ‘예정된 코스’에 대해 대충 보고를 받아서 알고 있지만 한국의 방위는 일본을 전제로 할 때만 가능한 만큼 한일 관계가 깨지면 한국 방위도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까지 했다. 상황이 만족스럽지 않자 박 대통령은 9월 19일 방한한 시이나 특사와의 접견에서 “일본측 태도는 한국을 너무나 무시한 태도로 본다. 이번 사건은 분명히 일본 정부에 중대 과실이 있다”며 “한국에서 출생, 한국 불법단체의 배후조정을 받고 한국인 여권으로 입국한 사람이 일본 천황이나 총리를 저격했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며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전용호 기자 chamgil@sed.co.kr 입력시간 : 2005-01-20 18:3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