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경계대상' 1호는…

잡코리아 조사… 직급따라 유형 달라

부장님은 뒷담화하는 부하직원을, 차장님은 능력이 출중한 엘리트 부하직원을 가장 경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남녀 직장인 1,227명을 대상으로 '자기 몸값 스스로 깎아 먹는 부하직원 유형'에 관해 설문조사(복수응답)를 실시한 결과, 직급에 따라 경계하는 부하직원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고 28일 밝혔다. 부장급 이상의 직장인들은 '내 앞에서는 순한 양, 뒤에서는 신랄한 뒷담화를 늘어놓는 직원'(24.6%)을, 차장급은 '능력 출중, 콩나물처럼 쑥쑥 크는 엘리트 직원'(23.9%) 을 가장 경계대상 1위로 꼽았다. 주임급과 대리급, 과장급들은 경계하는 부하직원으로 '노련한 센스로 부서원 빠르게 포섭하고 분위기를 장악하는 직원'(각 32.0%, 30.4%, 27.9%)을 1위로 꼽았고, 사원급은 부장급 이상의 직장인들과 마찬가지로 '내 앞에서는 순한 양, 뒤에서는 신랄한 뒷담화를 늘어놓는 직원'(25.6%)을 가장 경계한다고 답했다. 이 외에도 '사소한 일도 자신이 남보다 부각되게 포장 잘 하는 직원', '남모르게 항상 공부하고 수시로 스카우트 제의를 받는 직원' 등의 유형이 경계된다는 답변이 있었다. 이번 조사결과, 직장 내에는 비록 일을 잘 못해도 정이 가는 직원이 있는 반면 아무리 일을 잘해도 선배들에게 미움 받는 직장인들도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에게 '능력이 부족해도 후한 평가를 하게 되는 부하직원 또는 후배가 있는지'를 물은 결과, 75.1%의 응답자는 '그렇다'고 답했고, 직무능력을 떠나 왠지 더 챙겨주고 싶은 후배의 유형으로 '개인플레이보다 팀워크에 앞장서고 인간관계 좋은 직원'(46.9%)을 압도적으로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업무 능력은 보통이지만 잘 웃고 애교 있는 분위기 메이커 직원'(24.4%), '자신 없는 일에도 일단 덤비는 의욕적인 직원'(17.1%), '출근은 일찍, 무단결근 및 조태 없는 근태 좋은 직원'(10.4%) 등의 순으로 정이 간다고 답했다. 반면 응답자 84.1%는 '아무리 일을 잘해도 정이 안가는 후배가 있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싫어하는 부하직원 또는 후배에게는 '안 되는 일이라는 거 알면서 주거나 업무량을 은근히 늘린다'(39.7%), '인사해도 소 닭 보듯 아예 무시하고 일을 안 준다'(26.0%), '단순 업무만 시키고 공개적으로 잔소리한다'(12.5%), '해오는 업무마다 생트집을 잡는다'(7.4%) 등 싫은 티를 낸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