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대주주 론스타-인수후보 금융사, 외환銀 매각 '수 싸움' 치열

론스타 공개입찰 카드 내세워 솎아내기·투자 의향 떠보기에<br>신한·하나금융지주·産銀 등 "급할 것 없다" 시간벌기 나서


외환은행 대주주인 론스타와 외환은행 인수전에 참여할 금융사들 간의 '수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론스타가 최근 인수에 직·간접적으로 관심을 보인 국내외 투자가들의 속내를 떠보자 인수전 참여가 유력한 국내 대표주자들은 인수합병(M&A) 비밀유지동의서(CA) 제출 '보이콧'이라는 카드로 신경전을 펼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 금융사 "급할 것 없다"=15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ㆍ하나금융지주ㆍ산업은행 등 국내 대표 금융지주사들은 외환은행 매각주관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가 보낸 M&A CA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은 국내 대표주자들이 겉으로는 '회장공백' '정부 승인' '관심 없다' 등의 이유를 내세워 론스타의 공개입찰에 응하지 않겠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속내는 좀 다르다고 보고 있다. 외환은행 공개입찰로 외환은행 매각가를 올리기보다는 공개입찰 기간이 지난 후 비공개입찰에서 승부를 내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오는 6월 말까지 진행되는 이번 외환은행 공개입찰에 관심을 보일 국내외 투자가들은 거의 없을 것"이라며 "공개입찰에 참여해 외환은행의 몸값을 올리기보다 그 후 비공개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금도 매각가가 높은데 굳이 나서 가격경쟁만 부추길 필요는 없다"며 "시간이 지날수록 급해지는 쪽은 론스타지 인수참여자는 아니다"고 분석했다. ◇론스타 '주판알 튕기기'=국내외 금융권에서는 이번 론스타의 외환은행 공개입찰을 분위기 전환용으로 보고 있다. 또 공개입찰을 통해 그동안 인수에 직·간접적으로 관심을 보인 국내외 투자가들을 '솎아내기'하고 우리금융 민영화를 포함해 정부의 금융시장 재편 과정에서 외환은행의 존재를 부각시키기 위한 포석으로 분석하고 있다. 외환은행 매각에 정통한 미국의 한 사모투자펀드(PEF)의 관계자는 "아직까지는 외환은행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크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매각주관사인 CS를 통해 인수의향이 높은 곳을 파악하면서 금융사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 이번 공개입찰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론스타도 6월 지방선거와 우리금융 민영화 등 한국 내 변수가 많아 매각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6월 말로 마감시기를 못박아둔 것은 그 이후 시장상황을 보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