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 5월 17일] <1698> USS 홀랜드


SetSectionName(); [오늘의 경제소사 5월 17일] USS 홀랜드 권홍우 편집위원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잠항시 동력은 배터리, 수상항해에는 내연기관을 돌리되 배터리 자동 충전, 잠망경과 어뢰발사관 장착.' 1897년 5월17일 미국에서 건조된 잠수정 홀랜드Ⅵ호의 특징이다. 크기(길이 16.41m)가 작고 무게(수중배수량 74톤)가 적으며 동력원이 가솔린이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인 구조가 현대 잠수함과 동일하다. 아일랜드 태생의 엔지니어 존 홀랜드(John Hollandㆍ당시 57세)가 제작한 이 배는 자유로운 잠수와 부상을 위해 바닷물이나 공기를 채울 수 있는 탱크도 갖췄다. 17세기 초부터 숱한 잠수선박이 등장했지만 홀랜드Ⅵ호를 현대식 잠수함의 효시로 꼽는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3년간의 시범운행이 성공하자 미 해군은 이 배를 15만달러에 사들였다. 홀랜드함은 미국의 잠수정으로는 세 번째였으나 좌초하거나 침몰되지 않은 첫 번째 함정이었다. 처음으로 실전배치됐기에 잠수함 식별번호 1번(SS-1)도 붙었다. 홀랜드의 성능에 만족한 미국은 6척의 개량형을 더 주문해 세계 최초로 잠수정단을 편성했다. 영국(5척), 일본(5척), 네덜란드(1척), 러시아(1척)도 개량형인 홀랜드Ⅶ형을 사들였다. 미국의 홀랜드함이 1913년 '선박으로 재활용하지 않고 반드시 부순다'는 조건 아래 100달러에 고철로 팔릴 즈음에는 각국은 엔진을 디젤로 바꾸고 함체를 키워 대양형 잠수함을 생산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1ㆍ2차 대전에서 잠수함을 활용한 통상파괴작전이 전세를 뒤집을 만큼 위력을 발휘했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잠수함은 오늘날 더욱 유용한 무기체계다. 조용히 접근해 어뢰 한 방으로 거대한 함정을 격파하는 잠수함에 대항할 수단이 많지 않다. 한국은 잠수함을 가장 효율적인 전략무기로 인식하고 세력을 확충해 왔으나 주변국에 비해서는 미약한 수준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