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은 빈부격차 심화로 대변되는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꼽힌다. 국가가 취약계층에 제공하는 서비스만으로는 이들의 생활여건을 대대적으로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이들이 직접 소득을 벌어들일 수 있는 여건마련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저학력, 저소득 계층이 지속적으로 적정수준의 소득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가 마련돼야만 한다. 노무현 대통령이 신년연설 기조로 양극화 해소와 함께 일자리 확대를 꼽은 것도 이 같은 인식에서 비롯된다. 특히 올해 초 정부가 새해 경제운용방향을 마련하며 한국개발연구원(KDI)등과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국민의 38.7%가 “일자리 창출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꼽은 점도 이 같은 방향에 힘을 더하고 있다. 정부가 공공부문에서 일자리 확대를 위해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사회적 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확대다. 간병도우미ㆍ가사도우미ㆍ노인 요양지원ㆍ장애인 교육보조원ㆍ방문간호보조원 등 다양한 사회적 일자리를 마련해 고용도 늘리고 국가를 대신해 다양한 사회서비스도 제공한다는 게 당초 정부의 복안이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같은 사회적 일자리가 정부의 지원이 없어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민간에서 이들을 창출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즉 사회적 일자리 가운데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사업을 ‘사회적 기업’이 맡아 영위하는 것. 운영 주체는 일반기업이나 비영리 단체 등에 폭 넓게 허용되며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이나 서비스 제공 등 사회적인 기여도가 높으면 정부가 재정지원까지 해 주고 영리성이 큰 경우에는 사회적 기업이란 인증을 부여한다. 민간부문에서는 고용 창출의 ‘효자’로 꼽히는 벤처ㆍ중소기업이 많이 설립되는 한편, 다양한 노동력을 소화할 수 있는 서비스업을 육성하는 방안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최소창업자본금 등 각종 창업요건을 완화하는 한편, 의료ㆍ법률ㆍ교육 등 서비스업 분야의 많은 규제를 대폭 풀어 더 많은 고용을 창출하는 방안이 떠오른다. 물론 내수가 회복되고 경기가 본격적으로 살아나도록 해 대기업들이 신규 근로자를 대거 뽑을 수 있는 여건 마련도 포함된다. 근로자와 만들어진 일자리를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서비스 지원도 일자리 창출을 위한 핵심대책으로 꼽히고 있다. 정부가 운용하는 고용안정센터 가운데 일부를 시범사업으로 선정, 일자리 소개와 취업 교육을 확대하는 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재취업을 위해 필요한 각종 교육에 드는 비용에 대해서는 대대적인 세제지원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