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우건설 자금력 있는 회사가 인수해야"

박세흠 사장 기자간담회..'매각 평가 기준에도 반영돼야

"인수 회사의 크고 작음을 떠나 자금동원력 있고,건전한 자금으로 조달하는 회사가 인수해야 합니다." 대우건설 박세흠 사장은 매각 예비입찰을 하루 앞둔 19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항간에 오르내리고 있는 인수 대상 업체에 대해 이같이 강조했다. 박 사장은 "어떤 회사가 낙찰돼야 하는 지는 대주주와 대우건설 임직원간의 바람이 다를 수 있다"고 전제한 뒤 "대우 임직원들은 현재 거론되고 있는 회사중 대우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역랑있는 회사로서 자기자본비율이 높고, 자금출처가 명확한 건전한 자금을 가진 회사가 주인이 되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매각 자금중 많은 돈을 빌려 회사를 인수할 경우 회사의 이익금이 모두 대출금 갚는데 사용돼 회사의 `펀드멘탈'이 흔들릴 것으로 우려했다. 박 사장은 "입찰 평가기준에 이런 부분이 충분히 반영돼야 할 것이며, 혹시 이를 놓고 대주주와 상충되는 면이 있다면 원만히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부 인수 의향업체중 `거품론'을 제기한 대우건설의 주가에 대해서는 회사의영업실적과 미래가치에 비해 오히려 저평가돼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사장은 지난해 매출 5조원 시대를 열며 경상이익 5천588억원, 당기순이익 4천98억원 등 사상 최대의 실적을 거둔 것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박 사장은 "사장에 취임한 이후 꾸준한 구조조정과 수익 개선에 성공해 매출이익과 경상이익이 비슷할 만큼 회사가 건전해졌다"며 "수주잔고의 경우 경쟁사는 매출 기준 평균 26개월분이지만 대우는 그룹사의 지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42개월치를 확보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또 "올해 공식적인 수주 목표액은 8조5천억원이지만 10조원 달성도가능하다고 본다"며 "주택은 예년과 비슷한 수준(3조6천억원)에 맞추고, 나이지리아. 리비아 등 해외 플랜트와 올해 발주가 예상되는 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도 적극 수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 사장은 이와 함께 "정부의 8.31대책에도 불구하고 올해 부동산.건설 시장은예년에 비해 나빠질 것으로 보지 않는다"며 "특히 공공기관 이전과 혁신도시 등 국가적 프로젝트를 선점하는데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우건설에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업체는 당초 15개에서 제출시한 마감뒤 4개사가 추가돼 총 19개로 늘었다. 매각주간사인 삼성증권.씨티글로벌증권은 20일 예비입찰을 거쳐 이달 중으로 최종입찰대상자(short-list) 선정을 마무리하고 2월부터 실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