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10대 성장동력 핵심인력 1만명 육성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 확정<br>경영전문대학원 10곳등 전문대학원 설치<br>권역별 거점대학 중심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br>수준별 이동수업 실시학교 내년 50%로 확대




10대 성장동력 핵심인력 1만명 육성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 확정경영전문대학원 10곳등 전문대학원 설치권역별 거점대학 중심 산학연 네트워크 구축수준별 이동수업 실시학교 내년 50%로 확대 강동호 기자 eastern@sed.co.kr 교육인적자원부를 비롯, 20개 부ㆍ처ㆍ청이 공동으로 작성한 '제2차 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은 오는 2010년까지 인적자원 분야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에 진입, 인재 강국 및 평생 학습사회를 건설한다는 목표다. 즉 다양화ㆍ특성화된 대학들을 중심으로 '시장반응형 인력'을 양성하고 기업들은 재직자 능력개발 활성화로 일과 학습의 병행체제를 정착시키고, 정부는 인적자원개발 교육의 품질인증체제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10대 핵심 정책과제로 ▦미래 유망산업 핵심인재 육성 ▦대학-기업간 산학협력 활성화 ▦학제 개편 본격 추진 ▦교육복지기능 확충으로 양극화 해소 ▦여성 및 중고령층 인력개발 확대 ▦민간의 인적자원개발 투자 확대 ▦병영 내 학습ㆍ지식 네트워크 구축 ▦광역ㆍ기초지자체의 교육훈련 투자 확대 ▦초등학교 영어 조기교육 확대 ▦국가인적자원위원회 설치 등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나갈 방침이다. ◇미래 유망산업 핵심인력 양성=정부는 반도체ㆍ디스플레이ㆍ이동통신ㆍ로봇ㆍ생명공학 등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분야의 150여개 일류상품 및 기술개발에 필요한 핵심인력 1만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핵심 기술개발을 위한 대학원 실험실 150개를 설치하고 총 6,200명의 '슈퍼 IT 엔지니어'를 양성하며 2단계 두뇌한국21(BK21) 사업을 통해 연간 2만명의 우수 연구개발 인력을 배출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대학원과 학부 수준에서는 학과간 협동과정, 다학제적 교육과정을 통해 고급 융합 기술인력 양성 기반을 확대하기로 했다. 서비스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국제기준에 맞는 경영전문대학원 10곳을 양성하고 법학, 치ㆍ의학, 물류, 문화, 금융 등의 분야에도 다양한 전문대학원을 설립하기로 했다. ◇대학 특성화 및 산학연 협력 강화=대학의 산학협력단은 산학협력의 구심체로 활용한다. 올해 안에 대학 산학협력단이 주식회사 형태인 기술지주회사, 대학 기업 등을 설립할 수 있도록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을 제ㆍ개정한다. 또 연구개발-권리화-기술이전-사업화 등 대학 연구개발의 전과정에 걸쳐 산업체 수요를 반영하는 시스템을 구축, 권역별로 거점대학 산학협력단 중심의 산학연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산학협력단의 세금감면을 위한 법령을 개정하고 대학 연구비 등의 중앙관리제 도입을 위한 법적 근거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산업체-전문대와 대학-실업고간 협약학과를 현재 3개교에서 2010년 100개교로 확대한다. 군 복무 중 인적자원 개발을 위해 연간 6학점 내에서 e러닝으로 재학 중인 대학이나 사이버대ㆍ방송대 등의 학점을 취득할 수 있도록 했다. ◇교육투자 격차 해소 및 수월성 교육 확대=지난해 도입한 정부보증 방식의 학자금 대출제도는 성인학습자 등으로 수혜대상이 확대된다. 교육복지투자 우선 지역도 현행 대도시 중심에서 중소도시로 확대되고 방과후 학교-지역아동센터-공부방-자원봉사활동 등을 연계해 학교의 지역 커뮤니티센터 기능이 강화된다. 여성인력채용목표제, 공공부문 양성평등제, 여교수 임용목표제 등을 통해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을 현재 50%에서 10년 후 55%까지 높인다. 중고령층 인력활용을 제고하고 임금피크제 도입 등으로 고령자 중심의 구조조정을 완화해나간다. 아울러 영재교육 영역을 수학ㆍ과학 외에 정보ㆍ예술ㆍ언어 등으로 확대, 대상자를 전체 학생의 1%인 8만명까지 늘린다. 2007년까지 학생의 수준 및 적성에 맞는 수준별 이동수업 실시 학교를 전체 중ㆍ고교의 50%로 확대하고 조기 진급ㆍ졸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입력시간 : 2006/01/11 18:2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