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취임 100일째 '속앓이'하는 정동영

북핵·남북관계 꼬일대로 꼬여…'비교적 안정적 적응기' 평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장으로 외교안보분야 총괄조정역을 맡고 있는 정동영(鄭東泳) 통일부 장관이 8일로 취임 100일을 맞았지만 꼬일 대로 꼬여있는 북핵문제와 남북관계로 인해 속앓이를 하고 있다. 고(故) 김일성 주석의 10주기 조문 불허, 탈북자 대규모 입국, 국내 일부 과학자들의 핵물질 실험, 미 의회의 북한인권법안 처리 등에 북한이 거세게 반발하면서 북핵 6자회담과 남북 당국간 회담 등이 하염없이 표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런 장기표류 국면이 조기에 풀릴 전망이 별로 없는데다, 북한을 돌려세울 만한 뾰족한 카드도 없다는 점이 정 장관에게는 여간 부담이 아니다. 이에 정 장관은 조급하기 보다는 긴 호흡으로 가져 가겠다는 생각인 듯하다. 남북관계의 경색국면이 북핵문제와 오는 11월 2일 미 대통령선거 등 한반도 주변 환경에서 비롯된 구조적 측면이 적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따라 당분간 남북 화해.협력을 위한 각종 법률 및 조직 정비와 남북협력기금 확충 등 국내적인 기반구축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통일부 관계자는 전했다. 하지만 현재 꼬여 있는 남북관계를 제외하면 정 장관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100일간의 적응기를 마쳤다는 게 통일부 내의 대체적인 평가다. 취임후 얼마 지나지 않아 개성공단 전략물자 반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몸소 미국으로 날아간 데 이어, 핵물질 실험의혹이 분분하자 NSC 상임위원회를 열어 '평화적 핵이용에 관한 4대원칙'을 전격 발표하는 등 기민성을 보이기도 했다. 또 직원들에게 "내가 만드는 정책의 고객을 생각하고 모든 정책을 기안하고 처리하라"고 현장성을 강조했는가 하면, 통일외교 분야에 밝지 않은 정치인이라는 핸디캡을 극복하고자 토요일에는 삼청동 회담사무국에서 각 분야 전문가들과 만나 세미나를 가지는 등 전문성 확보에도 주력해 왔다는 게 통일부측의 전언이다. 정 장관의 한 측근은 "취임 후 100일동안 전문성을 갖추고 조직 장악을 해가며 그런 대로 적응기를 마친 것 아니냐"며 "앞으로 남북관계와 외교안보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