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2월 13일] 중국의 긴축기조 보폭 예의주시해야

중국의 인플레이션 상황이 예사롭지 않아 중국정부의 긴축기조 보폭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중국의 정책변화 여부는 세계경제는 물론 중국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같은 기간에 비해 5.1%나 급등했다. 시장의 예상치 4.7~5%를 넘어선 것이자 28개월만의 최고치다. 이에 따라 올 들어 11월까지의 CPI는 3.2%로 중국 정부의 목표치인 3%를 넘어섰다. 여기다 CPI의 선행지수인 생산자물가지수(PPI)의 상승률이 6.1%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가 추가상승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70대 중대형 도시의 주택가격은 전년 동월대비 7.7% 상승해 오름폭이 다소 둔화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물가는 뜀박질하고 부동산 거품도 쉽게 진정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의 대응 움직임도 빨라지는 모습이다. 인민은행은 오는 20일부터 은행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 올리기로 했다. 올 들어 여섯 번째 인상이며 지난 10월16일 이후 두 달 만에 세 번째 인상, 지난 달 19일 이후 19일만의 인상이다. 지난 10월 기준금리 인상까지 포함하면 두 달도 채 안 되는 기간에 네 차례나 유동성흡수 조치를 취한 것이다.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셈이며 그래서 추가 긴축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어제 폐막된 중앙경제공작회의가 안정적 통화정책으로 방향을 선회함에 따라 이제 긴축기조는 기정사실이 됐다. 문제는 긴축조치의 속도와 강도인데 중국경제가 과열을 우려할 정도가 아니기 때문에 점진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분석과 지준율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조만간 금리인상 단행 등 고강도 조치가 뒤따를 것이란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단계적 추진을 통한 연착륙이 이뤄진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세계경제에 큰 파장이 예상되는 만큼 이런 상황도 염두에 둬야 한다. 중국의 긴축은 유럽의 재정위기, 북한도발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등과 함께 내년 우리경제를 가름할 주요변수 중 하나다. 중국의 긴축기조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면서 미리 대응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