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정일 새 부인 비서출신 김옥씨

2년전 고영희씨 사망후 동거 "사실상 北 퍼스트 레이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새 부인으로 알려진 김 옥씨. 지난 2000년 김 위원장의 특사자격으로 조명록 국방위원회 제 1부위원장이 방미했을 때 대표단 일행으로 동행한 당시의 모습.


김정일 새 부인 비서출신 김옥씨 2년전 고영희씨 사망후 동거 "사실상 北 퍼스트 레이디" 안길수 기자 coolass@sed.co.kr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새 부인으로 알려진 김 옥씨. 지난 2000년 김 위원장의 특사자격으로 조명록 국방위원회 제 1부위원장이 방미했을 때 대표단 일행으로 동행한 당시의 모습.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2004년 부인 고영희씨가 사망한 이후 비서출신의 김 옥(42)씨를 새 부인으로 맞아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기 다른 채널의 대북소식통은 23일 “김정일 위원장은 2년 전 고영희씨가 사망하자 비서업무를 담당하던 기술서기 김 옥이라는 여성과 동거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사실상 북한의 퍼스트 레이디”라고 전했다. 김 옥씨는 1964년생으로 평양음악무용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했으며 1980년대 초부터 고영희씨가 사망할 때까지 김정일 위원장의 기술서기로 활동했다. 기술서기란 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 이상 간부들의 건강을 보살피는 직책으로 간부 1명당 1명이 배치되고 주로 간호사들이 선발되지만, 김 위원장에게는 다수의 기술서기가 있고 이들은 일반 간부의 기술서기와 달리 우리의 비서에 해당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기술서기 중 김 위원장의 신임이 가장 두터웠던 김 옥씨는 김 위원장의 군부대 및 산업시설 시찰 등 국내 현지지도 수행은 물론 외빈 접견에도 참석했으며 2000년 10월 조명록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이 김정일 위원장의 특사로 미국을 방문했을 때 수행원 자격으로 동행했다. 당시 김 옥씨는 김선옥이라는 가명과 국방위원회 과장 직함으로 조 제1부위원장을 동행해 월리엄 코언 미 국방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 등과 면담에도 배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옥씨는 지난 1월 김정일 위원장의 중국 방문에도 국방위 과장 신분으로 동행했지만 사실상 김 위원장의 부인 자격으로 상당한 대우를 받았으며 후진타오 중국 주석과도 인사를 나눴다는 후문이다. 13년 간 김정일 위원장의 전속요리사로 있었던 일본인 후지모토 겐지(藤本健二)씨는 자서전에서 2001년 4월 중순 김 위원장이 일본에 다녀올 수 있겠느냐고 자신에게 묻길래 갈 수 있다고 대답하자 “김창선(서기실 부부장)에게 항공권을 준비하라고 지시하고, 서기 김 옥씨에게는 내게 1만5,000달러를 내주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대북소식통들은 “김 옥씨가 성혜림씨나 고영희씨처럼 미인이라기 보다는 귀여운스타일”이라며 “아주 똑똑하고 영리한 여성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2월 일본 주간지에 김정일 위원장의 부인이라고 소개됐던 여성의 사진은 김 옥씨가 아닌 중국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 후계구도에 어떤 영향 후계자 선정 최대한 늦춰질 듯 권력 후계자에 쏠리면 퍼스트 레이디 "흔들" 후계논의 금지령 김옥씨 등장과 연관있는듯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동거에 들어간 김 옥(42)씨가 사실상 북한의 퍼스트 레이디로 등장함에 따라 향후 김 위원장의 후계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김 옥씨는 20대부터 오랫동안 김 위원장의 곁에서 업무를 보좌해 일찍부터 정치와 권력에 눈을 뜬 만큼 어떤 식으로든 후계구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후계자로 거론되고 있는 김정일 위원장의 아들은 고(故) 성혜림씨가 낳은 장남인 정남(35), 고(故) 고영희씨가 낳은 차남 정철(25)과 삼남 정운(22) 등이다. 김 위원장과 김 옥씨 사이에 자녀가 있는지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자녀가 없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가운데 김 위원장과 사이에 설사 아들이 있다고 해도 나이가 너무 어려 당장 후계자로 낙점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아직 40대 초반에 불과한 김 옥씨가 전 부인의 아들 중 한 명이 일찌감치 후계자가 되는 것을 달가워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 부인의 아들이 후계자로 선정될 경우 당장 권력의 중심이 후계자에게 쏠려 퍼스트 레이디로서의 지위가 흔들릴 것은 뻔하기 때문에 김 옥씨는 김 위원장으로 하여금 후계자 선정을 최대한 늦추도록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북한 내부적으로 후계문제 논의가 금기시되고 있는 것도 김 옥씨의 등장과 무관치 않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은 작년 말 김기남 노동당 비서, 박재경 군 대장 등 당.군 측근들에게 3대 세습이 국제사회에서 웃음거리가 될 수 있다며 후계논의 금지령을 내렸다. 이 자리에 배석했던 측근의 대부분은 고영희씨와 가까워 고씨의 아들인 정철과 정운 중 한 명을 후계자로 만들려고 했던 인물들이지만 김 위원장의 지시 이후 후계문제에 함구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이 같은 후계논의 금지 배경에는 김 위원장이 후계자 선정에 따른 권력의 레임덕 현상을 우려하는데다 김 옥씨의 입김도 적지 않게 작용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대북소식통들은 "김정일 위원장의 전 부인인 고영희씨가 사망하고 김 옥씨가 새 부인이 되면서 북한 권력내부에서는 후계문제가 사그라든 것으로 안다"며 "김씨의 등장으로 후계논란이 사라졌다고 단정할 수 없지만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측근 중 김 옥씨의 신임이 가장 큰 인물은 황병서 노동당 조직지도부(군사담당) 부부장. 황 부부장이 작년 5월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후 김 위원장의 군부대 및 산업시찰 등 각 분야 현지지도에 거의 빠짐없이 동행하고 있는 것도 김 옥씨의 영향력과 연관시켜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옥씨는 2년간의 업무정지 처벌 끝에 작년 말 복귀한 장성택 노동당 근로단체및 수도건설부 제1부부장과도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전해졌다. 입력시간 : 2006/07/23 16:3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