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5대그룹 인사 “구관이 명관”/기존인물 중용… 물갈이예상 빗나가

삼성, 현대 , LG, 대우, 선경 등 5대그룹은 올해말 최고경영자 인사에서는 「구관이 명관」이란 인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번 인사의 가장 큰 특징은 사상 최대의 불황과 국제통화기금(IMF) 한파 등에 따라 주요그룹들이 비상경영체제에 들아가면서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가 단행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회장·사장 등 최고경영자의 경우 기존인사의 중용이 두드러졌다. 5대그룹의 경우 사장단 인사에서 예년 수준에 못미치는 소폭이었으며, LG와 대우는 조직의 동요를 막고 비상시국을 강조하기 위해 임원인사를 아예 유보하거나 승진인사를 동결하는 등 보수적인 비상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또 각 그룹의 얼굴마담격인 기조실장이나 비서실장의 변동도 거의 없었던 것도 같은 맥락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부그룹에서 단행한 「로열 패밀리」의 전진배치도 기존체제 강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대의 경우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막내아들인 정몽일 현대종합금융(주) 대표이사 사장이 대표이사 회장으로 승진했고,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둘째 동생인 구본준 LG반도체 전무가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또 선경도 최종현 회장의 장남인 최태원 상무를 대표이사 부사장으로 승진시켰고, 한솔은 조동혁·동만·동길 등 오너인 이인희 고문의 세아들이 부회장으로 승진, 전진배치됐다. 또 새한은 새한미디어 이재관 사장을 미디어부문 부회장으로 승진시켰다. 한편 업계는 이같은 인사는 위기관리를 위해 모험을 택하기 보다 기존체제를 유지하면서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박원배 기자>

관련기사



박원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