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올 체감 성장 마이너스/통계청 집계/상반기 GNI ―0.02%

◎부도여파 17년만에 최저/작년에도 GDP절반 3.2% 그쳐올들어 지표경기를 나타내는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6%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채산성 등 체감경기를 반영하는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은 마이너스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지난해에도 GNI 증가율은 GDP 증가율 7.1%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3.2%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각종 경제지표에는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막상 피부로 느끼는 체감경기는 썰렁하기만 한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체감경기와 지표경기와의 괴리는 생산물량은 늘어나더라도 채산성이 악화되는데다 금융시장 경색으로 금융비용 부담 등이 커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95년 이후 지표경기와 체감경기의 괴리가 갈수록 심화, 교역조건을 감안한 체감경제성장률은 지난해 3%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들어 기아사태 등 대기업 부도로 인한 금융시장 경색까지 겹쳐 경제가 아예 성장을 멈췄거나 후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금융시장 경색이 실물경기에도 영향을 미쳐 지표경기조차 악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GDP성장률은 지난해 7.1%, 올들어서도 1·4분기와 2·4분기 각각 5.5%와 6.3%의 양호한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GNI는 지난해 3.2%에 그친데 이어 올 1·4분기에는 마이너스1%, 교역조건이 다소 개선된 2·4분기에도 0.9%에 머물렀다. 이에 따라 상반기 GNI성장률은 마이너스 0.02%를 기록, GDP성장률 5.9%와 큰 격차를 나타냈다. 이는 2차 오일쇼크로 지난 80년 GNI성장률이 마이너스 6.5%를 기록한 이래 최저수준이다. GNI란 생산물량을 기준으로 한 GDP개념에 교역조건 변동에 따른 실질 구매력과 국민이 실제 누리는 경제적 후생의 증감을 가미한 개념으로 체감경기를 보다 잘 반영하는 지표다. 통계청은 GNI성장률을 추정한 결과 경기확장기엔 GDP증가율보다 높게 나타나는 반면 경기수축기엔 GDP증가율을 크게 밑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GDP를 지표로 사용할 경우 경기가 국민들의 소득수준보다 과대·과소평가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한편 민간경제연구소들이 최근 잇달아 발표하는 체감경기지표도 국민계정지표와의 괴리를 반영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이번 불황이 주력수출제품 단가하락과 재고 증가에서 비롯됐다고 분석, 올해 처음으로 교역조건과 과다재고수준을 감안한 체감GDP성장률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교역조건 악화와 과다재고는 각각 2.72%와 0.92%씩 GDP성장률을 과대평가케 했다. 이에 따라 과대평가분을 상쇄한 체감경제성장률은 GDP성장률보다 3.6%포인트나 낮은 3.5%에 그쳤다는 설명이다. 현대경제사회연구원이 1일 발표한 「가계생활지수조사」 결과에 따르면 3·4분기 가계생활지수는 78.92를 기록, 3분기째 지수가 70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경기평가와 향후 기대지수, 소비심리지수 등을 종합한 체감경기지표로 지수가 1백을 넘으면 체감경기가 호조, 1백 이하면 침체상태인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현재 주변 경기 판단지표인 경기평가지수는 9.62를 기록, 지난 분기 14.45에서 한자릿수로 급락하면서 조사를 실시한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신경립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