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국제 원자재 大亂 다시 오나

WTI 56弗로 두달여만에 최고…구리는 사상최고가


원유와 구리 등 주요 원자재의 국제 가격이 사상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원자재 대란에 대한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국제유가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증산 결정에도 불구하고 연일 상승행진을 이어가고 있고 구리ㆍ금 등 비철금속도 가파르게 뛰고 있다. 이 같은 원자재 시장의 불안은 중국의 긴축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내 수요가 줄지 않고 있는데다 투기세력이 가세하면서 가격상승을 부채질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6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7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중질유(WTI) 가격은 전일보다 배럴당 1.01달러(1.8%) 상승한 56.58달러에 마감했다. 이는 지난 4월4일 이후 두 달 보름 여만의 최고가로 사상최고가인 58.28달러에 근접하고 있다. 브렌트유도 98센트(1.8%) 상승한 56.22달러를 기록했고 두바이유는 50.77달러로 지난 14일 51.02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3일째 50달러대에 머물고 있다. 구리ㆍ금 등 주요 비철금속 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이날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구리 값은 장 중 한때 톤당 3,340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뉴욕상품거래소의 8월 인도분 금값도 전일보다 온스당 7달러(1.6%) 오른 437.9달러에 마감, 지난 4월29일 이후 7주래 최고를 기록했다. 이 밖에 납과 니켈 가격도 오름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이처럼 국제 원자재가격이 급등하는 것은 ‘원자재 블랙홀’로 불리는 중국의 수요가 여전한 반면 생산업체의 투자 소홀로 공급은 부족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외환시장에서의 손실을 헤지 하려는 일부 펀드들과 투기세력들이 원자재 시장으로 몰려들고 있는 점도 가격급등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원자재 가격 강세로 세계경제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고 기업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