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시티폰 사업권 반납‘눈앞’…가입자는 불안하다/반납후 가입자보호는…

◎①PCS등 기존휴대폰으로 전환/②중소사업자 통폐합 별도회사 설립/③한통서 전부인수… 현실성 가장 커정보통신부가 2일 시티폰 사업자들이 사업권을 반납할 경우 이를 수용하는 쪽으로 방향을 정함에 따라 사업권 반납후에 일이 어떻게 진행될지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는 현재 약 70만명(한국통신가입자 포함)에 달하는 가입자의 보호문제와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우선 사업자들이 사업권을 포기하고 기존 가입자들에게 보상을 해주는 경우다. 이 때 예상되는 보상책은 돈으로 돌려주는 경우와 PCS나 핸드폰으로 전환시켜 주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사업자들에게 일시에 많은 자금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현실성이 떨어진다. 둘째는 서울이통, 나래이통, 지방 015사업자들이 통폐합해 별도의 회사를 설립하는 방안이다. 이는 작은 회사로 분산돼 있어 영업력과 자금력이 부족한 것이 사업부진의 이유로 보는 업체들에게서 나오고 있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경우 설립될 회사는 정통부로부터 별도의 사업승인을 받아야 하는 절차가 남는데다, 강력한 경쟁회사를 맞게 되는 한국통신이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 또 프랑스의 닷소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서울이동통신과 삼성전자의 장비를 사용하고 있는 나머지 업체들과의 시스템 연계에도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는 한국통신이 나머지 사업체의 시설과 가입자를 인수하는 방안이다. 또 애초에 사업성이 없는 분야에 사업권을 내주었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정통부로서도 가장 손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백재현 기자>

관련기사



백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