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골프 손자병법] 페어웨이 지키는게 스코어관리 지름길

페어웨이 지키는게 스코어관리 지름길 ■ 골프 손자병법 유응렬프로·MBC-ESPN 해설위원 我出而不利 彼出而不利 曰支 支形者 敵雖利我 我無出也 引而去之 令敵半出而擊之利(아출이불리 피출이불리 왈지 지형자 적수 리아 아무출야 인이거지 영적반출이격지리). ‘(6가지 지형 가운데) 아군이 출격해도 불리하고 적군이 진출해도 불리한 곳이 지형(支形)이다. 지형에서는 적이 이익으로 아군을 유인해도 공격해서는 안 된다. 아군을 인도해 후퇴하다가 적이 반쯤 쫓아오기를 기다려 공격하면 이득이다.’ 손자병법 지형(地形)편에 나오는 ‘지형(支形)’은 서로 나아가지 못하며 마주 버티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골프코스에서 본다면 페어웨이 양쪽 옆의 러프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원래 페어웨이는 이쪽 항구에서 출발한 배가 다른 쪽 항구로 들어가는 뱃길을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거센 파도와 비바람을 헤치고 가는 것이 아니라 순풍에 돛 단 듯 편안히 바다 위를 미끄러져 가는 안전한 길인 것이다. 골프에서는 티샷 이후에 그린의 홀까지 잔디가 짧게 깎여 잘 정돈된 길을 페어웨이라고 부른다. 안전하고 위험이 없는 플레이 경로다. 자칫 샷 미스로 비탈지거나 풀과 나무가 무성한 러프 쪽으로 들어가면 일단 순탄한 여행길이 아니다. 대개의 경우 러프에 들어가면 자신의 실력 이상으로 생각해 무조건 힘으로 탈출하려 하게 된다. 하지만 볼을 제대로 때리기 힘들고 볼을 쳤다 하더라도 언덕 위로 더 올라가거나 나무에 맞아 상황이 더더욱 나쁘게 되기 쉽다. 일단 페어웨이로 돌아가는 게 급선무다. 1타의 손해를 보더라도 다음 샷을 기약하는 것이 결국은 자신을 이기고 상대(코스)를 이기는 길이다. 페어웨이는 좋은 샷의 보상으로 밟게 되는 깔끔하게 정돈된 곳이다. 이에 반해 사실상 러프는 실수에 대해 0.5타의 벌타가 주어지도록 만들어 놓은 곳인 셈이다. 벙커나 워터해저드 역시 1타 가량의 벌칙을 가하기 위한 장소다. 프로골프 투어에서도 페어웨이 안착률이 높은 선수가 버디를 많이 기록한다는 사실이 통계로 나타나고 있다. 페어웨이를 지키는 것은 스코어를 관리하는 지름길이다. 혹시 지키지 못했을 때는 빨리 돌아가야 더 이상의 재앙을 막을 수 있다. 입력시간 : 2006/01/11 17:2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