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황의돈 육참총장 사퇴…軍 인사폭풍 오나

투기 의혹에 6개월만에 낙마<br>후임 육사 32기 발탁여부 관심<br>안보상황 감안 대폭교체 힘들듯

황의돈(대장ㆍ육사31기) 육군참모총장이 재산형성 과정에서 불거진 의혹에 책임을 지고 전역지원서를 제출하고 청와대가 이를 받아들인 것으로 14일 확인됐다. 황 총장의 사의가 받아들여짐에 따라 15일께로 예고된 군 장성급 인사는 다소 연기될 것으로 보이며 장성급 인사폭은 당초 예상보다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육군 최고지휘부에 누가 오르냐에 따라 추가로 대장진급 수요가 발생할 수 있는데다 이 경우 중장ㆍ소장 등 장성급 인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8년 전 부동산이 '발목' 잡아… 6개월 단명 '불명예'=지난 6월 연합사 부사령관에서 육참총장으로 자리를 옮긴 황 총장이 취임 반년 만에 물러나게 된 데는 8년 전 재산형성 과정에서 불거진 의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황 총장이 국방부 대변인이던 지난 2002년 8월 용산구 한강로 1가 대지 316㎡(95평)의 낡은 2층 건물을 매입할 당시 국방부가 이 지역의 고도제한을 완화할 것이라는 정보를 사전에 미리 알고 재산 증식에 활용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하지만 황 총장의 사의 표명은 김관진 장관이 군 개혁에 박차를 가하는 시점에서 개인적 의혹으로 여론의 도마 위에 올라 있는 자신이 이에 동참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점도 작용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육군의 한 관계자는 "최근 일부 언론에 보도된 재산형성 과정에 불거진 논란의 진위 여부를 떠나 총장으로 임명한 대통령과 육군 장병 및 국민에게 부담을 준 것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진다는 차원"이라며 "개인적인 문제로 육군 전체의 사기저하를 초래할 것을 우려한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폭 물갈이 '희박'… 후임 32기 발탁시 추가 인사=황 총장 사의 표명으로 군 일각에서는 다른 군 수뇌부의 전역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현재의 안보상황을 고려할 때 대폭적 물갈이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럼에도 후임 총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장성급 인사의 폭이 커질 것이라는 데 이의를 다는 이는 없다. 후임 총장으로는 김상기 제3야전군사령관(대장ㆍ육사 32기)과 정승조 연합사 부사령관(대장ㆍ육사 32기), 박정이 제1야전군사령관(대장ㆍ육사 32기) 등이 거론되고 있다. 육사 동기인 이들 세 명 중 한 명이 후임 총장으로 발탁되면 최소 1명의 대장 전역자가 더 나올 수 있고 이에 따라 추가 대장 진급 인사가 있을 수 있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그동안 육군총장과 군 사령관이 동기였던 적이 없었고 3명의 동기생 중 1명이 육군총장이 되면 다른 1명은 연합사 부사령관으로 가고 나머지 1명은 전역하는 것이 대체적인 인사 패턴이었기 때문이다. 또 이철휘 제2작전사령관(대장ㆍ학군 13기)도 후임 총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비록 학군 출신이 육군총장에 임명된 적은 없지만 이들보다 선배인 이철휘 대장이 낙점되면 상대적으로 인사폭은 작아진다. 물론 예상외의 인사가 군을 맡을 수도 있다. 군은 금명간 후보자를 추천해 오는 22일 국무회의를 거쳐 후임 참모총장 인선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그 전까지 육군총장의 업무는 조정환(중장ㆍ육사33기) 육군참모차장이 대행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