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합신당-민주당 통합, '진보진영 기사회생' 전기 마련

양당 "분열땐 모두 공멸" 위기의식 공감<br>총선 '안정론' '견제론' 한판승부 예고<br>호남권 공천 교통정리가 최대 과제될듯

손학규(앞줄 왼쪽) 대통합민주신당, 박상천 민주당 대표가 11일 국회에서 양당의 합당내용을 담은‘통합과 쇄신을 위한 공동선언서’에 서명하고 선언서를 교환한 뒤 악수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통합신당-민주당 통합, '진보진영 기사회생' 전기 마련 통합실무단 구성·15~16일쯤 공식 등록총선 '안정론' '견제론' 한판승부 예고호남권 공천 교통정리가 최대 과제될듯 구동본 기자 dbkoo@sed.co.kr 손학규(앞줄 왼쪽) 대통합민주신당, 박상천 민주당 대표가 11일 국회에서 양당의 합당내용을 담은‘통합과 쇄신을 위한 공동선언서’에 서명하고 선언서를 교환한 뒤 악수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진보진영이 4ㆍ9총선을 58일 앞두고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렸다. 국회 다수의석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대선에서 패배한 뒤 급격히 약화됐던 진보세력이 기사회생의 전기를 마련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선 보수진영과 진보진영이 이번 총선 때 각각 오는 25일 출범하는 '이명박 정부' 국정 안정론과 견제론을 내세워 팽팽한 한판 승부를 벌일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 흘러나온다. 특히 진보진영은 통합정당이 정당지지율 1위를 달리는 한나라당과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이끄는 자유선진당 등 보수정당의 독주를 막을 수 있을 것이란 희망 섞인 전망도 내놓는다. 민주신당과 민주당은 11일 양당 통합에 전격 합의했다. 양당은 이날 통합실무단을 구성했으며 조만간 통합수임기구 합동회의를 거쳐 15~16일쯤 선관위에 '통합민주당'으로 공식 등록할 예정이다. 양 당은 통합 합의문에 따라 정치적으로는 손학규-박상천 공동대표 합의제로 운영하되 선관위에는 손 대표 1인만 통합정당의 대표로 등록하기로 해 손 대표만 최종적으로 공천장에 '도장'을 찍는 법적 권한을 갖게 된다. 최고위원은 현재 신당이 7명, 민주당이 8명(원내대표 등 당연직 포함)이지만 통합이 완료되면 신당은 7명 안팎, 민주당은 5명 내외로 '통합민주당'의 최고위를 구성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 당은 또 공천심사위원회(위원장 박재승)의 경우 대표회동과 실무협상을 통해 외부 7명, 내부 인사 5명으로 구성하되 내부 인사의 경우 신당 2명, 민주당 3명으로 한다는 데 큰 틀의 의견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사무총장ㆍ대변인 등 당직자 인선문제의 경우 통합 완료 후 양당 대표가 조율해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설합당 방식으로 통합함에 따라 양당의 자산과 부채는 통합민주당에 그대로 승계되며 과거 통합협상 때 쟁점이 되기도 했던 대선 빚 문제의 경우 민주당이 대부분 다 갚았고 현재 수억원 정도만 남아 있어 통합에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양 당의 전언이다. 양 당은 이번 통합을 계기로 총선 승리를 위한 한가닥 희망을 걸 수 있게 됐다. 전통적으로 호남을 텃밭으로 삼아온 양 당이 우선 호남 표를 결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도권 표심 변화까지 이끌어내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양당은 호남을 지지기반으로 가지고 있는 진보진영의 분열로 탄생했다. 그런 만큼 양당이 합치지 못하고 총선에 나설 경우 호남 및 수도권 표 분산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이해찬 전 총리와 유시민 의원의 대통합신당 탈당으로 대통합신당의 친노(親盧) 색채가 확연히 옅어진데다 손학규-박상천 대표가 수도권과 호남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갖고 있는 만큼 총선 전략을 마련하기도 한결 수월해졌다는 평가다. 하지만 양 당 통합은 갈등요인도 가지고 있다. 당장 민주당의 합류로 호남공천 문제를 놓고 통합정당에서 '내전'이 벌어질 수도 있다. 양 당의 유력인사들이 대거 호남권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통합정당 공천이 곧 당선이란 인식에 따라 공천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객관적 기준에 의해 공천을 한다 하더라도 소수당인 민주당의 입장에서는 자당 소속 인사에 대해 최소한의 공천보장을 정치적으로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결국 호남권 공천의 원만한 교통정리가 총선 때 통합정당의 파괴력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