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마산 '준혁신도시' 좌초하나

건교부 "주공 등 주요기관이전 不可" 재확인<br>김태호 지사도 '무조건 추진'서 한발 물러서<br>시민단체선 "지역갈등 심화…조속한 결정을"


건설교통부가 최근 주택공사의 마산이전이 불가하다는 당초의 확고한 입장을 재차 확인한데다 지방선거 과정에서 시종일관 “밀어붙이겠다”는 입장을 견지해온 김태호 경남도지사가 최근 이를 비판한 도정2기 출범준비위원회의의 권고를 수용하겠다며 한 발 물러섰다. 경남지역 일부 시민단체들도 지방선거 때문에 강행한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며 하루빨리 마무리 할 것을 요구하고 나서고 있다.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은 최근 과천청사에서 '혁신도시 추진상황'에 대한 브리핑을 갖고 "혁신도시 예정지역외에 주요 기관을 제외한 한 두 곳의 개별이전은 협의를 통해 허용할 수 있지만 경남도에서 요구한 주공 등 주요 기관의 마산 이전은 힘들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건교부측은 “경남의 경우 진주 혁신도시 규모를 당초보다 20만평 확대하기로 했다”며 “추가된 부문과 관련해서는 오는 10월까지 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연내에 혁신도시건설지원특별법이 제정되면 곧바로 보상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최근 경남도 도정2기 출범준비위원회가 경남도의 독단적인 추진보다 원만한 합의에 따르는 것이 좋겠다고 한 정책권고를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당초 무조건 밀어붙이겠다는 입장에서 한 발 물러선 것이다. 김 지사는 특히 "준혁신도시의 혼선에는 정부도 자유롭지 못한 만큼 포기하는 지역에 그만한 효과의 대안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대안에 대해서도 열어놓고 있다. 시민단체 일각에서는 지역간 화합을 깰 수 있는 상황이어서 성사여부를 조속히 판단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지방분권운동경남본부 정점석(56) 상임대표는 “5ㆍ31 지방선거 때문에 강행한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며 “이런 의구심을 떨치고 지역간 화합을 위해서는 하루빨리 판가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마산시와 공공기관이전 범시민대책위원회는 건교부의 발표에 크게 반발하며 경남도의 준혁신도시 발표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요구하고 있다. 건교부는 혁신도시건설지원 특별법과 관련된 행정절차를 다음달 최종 마무리할 예정이어서 마산준혁신도시 문제의 향방도 급류를 탈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