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긴급진단 에너지 전쟁] <4편·끝> 전문인력을 키우자

자원전쟁 싸울 병사가 없다<br>국내 기업·연구소등 기술인력 총 270여명<br>세계 56위 유노칼 7,000명의 5%도 안돼<br>유·가스전 개발 인력 양성 年10여명 불과<br>국비유학생제 신설등 정부 전폭 지원 절실


미국 9위, 세계 56위 유노콜(Unocal)사 기술인력 6,980여명, 석유공사 및 20여개 민간기업, 전국 대학 및 연구소 포함한 기술인력 270여명. 전 세계적으로 자원확보 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이 처한 초라한 모습이다. 일국의 전문인력 수가 일 개 석유개발전문기업의 5%에도 미치지 못한다. 한마디로 말해 전투에 나가 싸울 병력 수가 태부족하다는 얘기다. 맨 주먹으로 단숨에 세계 12위의 경제대국을 일궈낸 한국이지만 해외 자원개발에 관한한 최소한의 인적자원도 확보하지 못한 채 그저 천수답식의 전략에만 얽매여 있는 형국이다. 전문가들은 자원개발 국비유학생 제도 신설, 스타급 인력개발을 통한 꿈나무 양성으로 연간 200명 이상의 전문인력이 나와야 자원전쟁에서 승리자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양성 기관이 없다 = 과거 전국 14개 대학 자원공학과는 그나마 유ㆍ가스전 개발의 전문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창구였다. 하지만 학부제가 실시되면서 자원공학과가 토목 및 환경공학과 등과 합쳐지면서 학부를 졸업한 학생 대다수가 토목이나 환경분야로 진로를 택했다. 대학의 한 관계자는 “갈 곳도 없고 지원도 없어 자원공학은 학생들의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다”고 말한다. 학생이 없으니 전문교수인력을 갖추고 제대로 된 석사과정을 운영하는 곳도 찾기 힘들다. 서울대와 한양대 2곳 정도가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원공학과와 더불어 전문인력 배출의 또 다른 문이 될 수 있는 지질학과도 사정은 비슷해서 우리나라가 유ㆍ가스전 개발의 전문 기술인력으로 양성할 수 있는 인재는 연간 10여명에 불과한 것으로 학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국립석유대학 한 곳에서만 연간 수백명의 전문인력 후보군을 배출하고 있는 중국과는 처음부터 비교 자체가 불가능한 형편이다. ◇싸울 병사도 없다 = 육성기관이 없으니 자원전쟁에 나설 전문인력이 없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 정부가 자원개발전문기업으로 키우겠다는 한국석유공사 기술실의 전문인력이 61명. 타 부서와 국내외 현지사업장을 모두 합쳐도 110여명에 불과하다. 석유협회에 따르면, 석유공사를 제외하고 유ㆍ가스전 개발사업에 나서고 있는 국내 민간기업 수는 19개사로 관련인력 수는 107명, 이 가운데 기술인력은 67명 가량으로 조사됐다. 세계 50위 석유회사인 옥시덴탈(Occidental)사와 세계 56위 유노콜사의 전문인력이 각각 7,250여명, 7,000여명 수준이다. 국내 석유회사를 통틀어도 전문인력이 이들의 3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셈이다. 자원전쟁의 강력한 라이벌(?)로 꼽는 일본만 해도 3,500여명의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병력 양성을 책임져야 할 정부부처도 조직이 대폭 축소돼 산업자원부 자원정책실 산하 인력(130여명)은 과거 동력자원부 시절(600여명)의 4분의 1에 못 미친다. 일본 자원에너지청 인원 1,100여명에 비하면 9분의 1 수준이다. ◇자원개발을 꿈의 인력시장으로 = 전세계를 무대로 처녀지를 개척하는 자원개발사업은 청년들이 꿈을 가지고 도전해 볼만한 분야다. 전문성만 인정 받으면 억대 연봉은 따 논 당상이다. 한 예로 동해 가스전에서 일하고 있는 외국인 석유전문가의 일당이 1000달러(약 백만원)에 이른다. 한 달을 일하고 한 달을 쉬는 데 자국을 오가는 왕복항공료도 회사에서 보조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가 예비인력에 전폭적인 학비지원과 함께 적절한 홍보만 가미해도 연간 200여명의 유전개발 전문인력 배출은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유전개발 컨설팅기업인 에너지홀딩스 박희원 이사는 “학창시절 석유공학을 공부하고 싶어도 타 분야에 비해 장학금 등의 지원이 너무 빈약했다” 며 “자원개발 국비유학생 제도를 신설할 만 하다”고 조언했다. 업계는 또 해외자원개발의 상징적 스타를 키우는 의미에서 관행적인 낙하산 인사로 채워왔던 석유공사 최고경영자(CEO) 자리에 명실상부한 석유전문가를 임명하고, 청와대에 대통령의 자원외교를 챙기는 한편 에너지 확보문제를 조언할 전담 보좌관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빼놓지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