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표준硏, 나노입자 효율 향상 기술 개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나노소재평가센터 김용성 박사팀이 나노입자 구조를 자유자재로 변화시켜 제품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현재 전국에 배치된 LED(발광다이오드) 신호등의 경우, 질화갈륨을 박막형태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특정 구조의 나노입자로 변화시킬 경우 지금보다 낮은 전력으로도 지속시간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기존 LED신호등을 구성하는 질화갈륨 박막의 나노입자 구조를 박막형태에서 삼각형 형태로 변경한 결과, 음의 전자와 양의 정공사이의 거리가 최소한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관련기사



이를 통해 신호등에 쓰이는 질화갈륨 이외에도 자동차 전기장치 소자에 활용되는 산화아연, 광센서 및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카드뮴 설파이드 등 주요 반도체 재료에 대한 구조 50여 종을 구현했다.

연구팀은 해당기술로 파악된 자료를 모두 DB화해 관련 산업계에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한 상태다.

김용성 박사는 “질화갈륨 등은 반도체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은 만큼 많은 업체들이 제작 물품에 맞게 나노입자의 구조와 공정조건을 참고할 수 있다”라며 “이를 바탕으로 나노입자를 이용한 광전자 소자 기술개발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