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경 펀드닥터] 채권형 지난주 수익 못내


강세행진을 거듭하던 채권형 펀드들이 전세계적인 금리인상 분위기에 휩쓸리면서 일순간 얼어붙었다. 1주일간 거의 수익을 내지 못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이 지난 3일 펀드의 영업 기준가격으로 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채권형 펀드는 1주일간 0.01%(연 0.5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채권시장에서 장기물 위주의 채권가격 하락에 기인하는 것이다. 채권형 중에서는 회사채 투자비중이 높은 공사채형은 0.03%(연 1.38%), 국채에 주로 투자하는 국공채형은 –0.01%(연0.44%)의 수익을 냈다. 이는 국공채가 회사채보다 가격 하락 폭이 컸던 데다 보유채권의 평균 잔존만기가 긴 국공채 펀드들이 채권가격 하락에 따른 피해를 더 많이 입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고채 3년물 유통수익률은 지난 2일(목) 종가기준으로 전주대비 0.09%포인트 상승(채권가격 하락)한 반면 회사채BBB-등급은 0.06%포인트 올랐다. 또 통안채 1년물 유통수익률은 1주일간 0.04%포인트 상승에 그친 반면 국고채 5년물은 0.13%포인트나 급등했다. 300억원 이상 운용하는 자산운용사 중에서는 태광운용이 0.07% (연 3.58%)로 주간수익률이 가장 높았고 조흥운용 및 동양운용이 각각 0.06%(연 3.15%), 0.06%(연 3.01%)의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운용사들은 회사채 보유비중이 높은 회사들이다. 주식성장형(약관상 주식투자한도 70%초과) 수익률은 지난 1주일간 코스피지수가 0.48% 상승함에 따라 평균 0.47%을 기록했다. 주가가 폭락한 금요일 상황을 반영한 월요일 펀드 기준가격으로 주간 수익률을 측정할 경우 손실이 불기피할 것으로 예측된다. 성장형보다 주식투자비중이 낮은 안정성장형(40~70%) 펀드들은 평균 0.43%, 안정형(10~40%) 펀드들은 0.2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운용규모가 300억원 이상인 성장형 운용사 중에서는 알리안츠운용의 일주일간 수익률이 1.81% 로 가장 높았고 대투운용과 대신운용 0.85%, 신영운용 0.84% 등 비교적 양호한 성적을 거두었다. 한편 자산운용협회가 지난 2일 기준으로 집계한 수탁액은 증권 및 단기금융이 한 주간 3조386억원 감소한 193조 8,609억원을 기록했고 채권형은 1,468억원 줄어든 48조 853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식형은 2,581억원, 채권혼합 2,638억원, MMF –3조 3,020억원 등 채권혼합과 주식형을 제외한 전체 유형에서 자금이 감소했다. /원윤정 ㈜제로인 펀드애널리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