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 통신교육 늘어난다

◎3개월비용 8만원… 그나마 70∼90% 지원받아/수강자 내년 10만명 전망 컨설팅업계 대응활기기업들의 통신교육이 크게 활기를 띠게 됐다. 12일 능률협회, 표준협회, 한국생산성본부 등 컨설팅업체들과 재계에 따르면 교육비가 적은데다 교육훈련비의 최고 90%를 돌려받을 수 있는 산업교육 대상으로 통신교육이 지정되면서 이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통신교육은 근로자들이 근무지를 떠나지 않고 여가시간 등을 이용해 자율학습과 같은 방법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제도다. 컨설팅업계는 노동부 지방사무소로부터 교육과정에 대한 승인을 받아 통신교육에 나서게 되는데 이르면 다음달 말부터 중소기업의 경우 90%, 대기업의 경우 70%를 고용보험의 직업능력개발사업비에서 지원받게 돼 직원들의 통신교육을 강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컨설팅업계에서는 지난해 통신교육 수강자가 4백1개 과정, 6만여명에 달했는데 올해는 7만명으로 늘어나고 과정개발이 활기를 띠면서 내년에는 1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따라 능률협회, 표준협회, 생산성본부 등 국내 컨설팅3사는 이같은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다각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들은 통신교육비 지원에 대한 홍보에 주력하는 한편 기존 교과과정을 새롭게 재편하고 신규 교육과정도 마련하고 있다. 오세규 표준협회통신교육부장은 『강사보다 교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통신교육과정은 개발비가 많이 들어 무턱대고 과정을 늘릴 수도 없다』며 『우선 영업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컨설팅업체들은 『현재 산업교육매출액 가운데 통신교육은 20%를 넘지 못하고 있다』며 『이번 조치로 그 비중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유균 삼성기계소그룹 인재개발원장은 『산업교육 환경변화에 기업들의 대응이 느리긴 하지만 통신교육이 이번에 제도권 교육으로 보호받는 것을 계기로 기업들이 교육패턴을 급속히 변경할 뿐만 아니라 교육훈련비도 대폭 늘리게 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그동안 고용보험에 의해 교육훈련비의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었던 산업교육은 특정 프로그램을 갖고 불특정다수의 기업직원이나 한 기업의 직원을 모아놓고 실시하는 공개교육, 사내교육 등 집합교육으로 제한돼왔다. 집합교육의 경우 직원들이 교육훈련에 차출, 생산활동에 차질을 빚게 되고 한정된 시설에서 교육이 진행돼 교육인원에 제한을 받는 등 문제점이 많았다. 특히 수강료도 2박3일을 기준으로 20만원 정도에 달해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했다. 통신교육의 경우 3개월 기준 평균 8만원 정도로 매우 저렴하다. 한편 통신교육은 일을 하면서 교육을 받고 입·퇴소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개별기업의 수요에 부응하는 교과과정의 개발 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는 반면 교육의 성과가 개인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는 단점도 있다.<구동본 기자>

관련기사



구동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