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판교분양가·임대료 협상 27일 재개

성남시-업체간 의견차 커 타결 쉽지 않을듯

판교 민간아파트의 분양가 및 월 임대료를 둘러싼 성남시와 민간 건설업체의 협상이 27일 재개된다. 그러나 양측의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어서 타결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26일 성남시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민간 임대 및 분양아파트의 청약을 예정대로 오는 4월3일에 맞추기 위해 성남시와 민간 건설업체들이 27일 다시 만난다. 지난 23일 분양승인 보류 결정 이후 성남시는 임대아파트 업체와 24일 한차례 접촉했으나 분양아파트 업체와는 공식적인 협상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성남시와 임대아파트 업체의 접촉에서도 양측은 합의를 도출하는 데 실패했다. 성남시는 업체들이 책정한 월 임대료 40만원을 내리도록 요구했으며, 이에 대해 4개 업체 중 2개 업체는 수용한 반면 2개 업체가 끝까지 버텨 결국 무산됐다. 성남시가 주장한 월 임대료 인하 폭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부동산업계에서는 2만원 안팎으로 추정하고 있다. 성남시와 민간업체는 27일 다시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기로 했지만 임대ㆍ분양아파트 모두 타결 전망은 불투명하다. 분양아파트의 경우 22일 6개 업체 중 5개 업체는 평당 분양가를 1,190만원대(30평대 기준)로 낮춘 수정안을 제출했으나 토지 매입비용이 많이 들어간 건영은 1,210만~1,220만원안을 제출한 후 추가 수정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성남시와 민간 건설업체간 분양가 줄다리기의 쟁점 사안은 가산비용 절감 문제와 택지 공급가격이다. 분양가 추가 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성남시가 내세운 근거는 불필요한 공법을 도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도시지역에서나 사용하는 ‘무진동 발파공법’을 새로 조성하는 택지지구에 적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성남시 측의 주장. 이 부분을 조정하면 1,150만원대까지 분양가를 내릴 수 있다는 게 성남시의 입장이다. 반면 업계는 21일 분양가 조정 과정에서 평당 분양가를 1,180만~1,190만원선까지 낮춘 상황에서 분양가 추가 인하의 여지는 거의 없다는 입장이다. 주공이 부담하지 않는 분양보증 수수료, 제세공과금 등 추가 비용을 감안하면 1,190만원대는 합리적인 수준이라며 맞서고 있다. 분양업체의 한 관계자는 “가능한 한 데드라인(29일) 이전에 분양승인이 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도 “근거도 없는 여론몰이식 분양가 인하요구가 계속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양측은 평당 40만원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27일 협상이 재개되더라도 양측이 평행선만 달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판교 청약을 손꼽아 기다리는 수요자들의 불안감은 여전히 계속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