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경영자총협회 조사, 대졸 신입 15% 1년내 퇴사

대졸 신입사원 10명 중 1.5명은 1년 이내에 퇴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근로자 100인 이상인 38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대졸 신입사원 업무능력 평가조사'결과 대졸 신입사원 가운데 15.7%가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 등으로 입사 1년 이내에 회사를 떠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20일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3년 전인 지난 2007년 20.6%에 비해서는 4.9%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지난해 경제위기로 고용상황이 악화된 데 따른 현상으로 분석된다. 신입사원들이 1년 이내에 퇴사를 선택하는 이유로는 '조직 및 직무적응 실패'(41.8%)가가장 많이 꼽혔다. 또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27.9%), '근무지역 및 근무환경에 대한 불만'(17.0%)도 주요 퇴사 원인으로 분석됐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31.3%), '근무지역 및 근무환경에 대한 불만'(17.0%)이 대기업에 비해 각각 12.5%포인트, 5.4%포인트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열악한 근무환경이 퇴사의 주요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중소기업의 퇴사율(22.3%)이 대기업(7.4%)의 3배에 달했다. 아울러 대졸 신입사원들이 받는 연봉 수준이 기업들이 생각하는 대졸 신입사원의 적정 급여 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대졸 신입사원의 적정급여로 월평균 185만4,000원(연봉 2,224만원)을 제시했지만, 실제 지급하고 있는 액수는 이보다 13.2% 높은 209만8,000원(연봉 2,517만원)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