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산한 보금자리 3차 사전예약 현장

1ㆍ2차 때와 달리 한산

“주변 아파트에 비해 분양가가 크게 싼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집 값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고 세 아이 키울 것도 생각해서 지금 사는 곳 근처에 청약했어요.” 18일 아내와 함께 젖먹이 아이를 안고 서울 대청역 인근 SH공사 1층에 마련된 3차 보금자리 사전예약 현장접수처를 찾은 김성남(34)씨는 서울 항동지구 3자녀 특별공급에 청약을 마쳤다. 김씨는 “1ㆍ2차 보금자리는 자격이 안됐지만 올해 세 쌍둥이를 낳으면서 70점을 확보했다”면서 “청약 분위기를 직접 느끼기 위해 현장에 왔다”고 설명했다. 3차 보금자리 사전예약이 시작된 이날 청약 현장은 1ㆍ2차 때와 달리 한산했다. 인터넷 청약이 주를 이룬다지만 현장접수처는 한마디로 썰렁했다. 오후 2시 현재 SH공사 현장접수처를 찾은 청약자는 34명에 그쳤다. 하지만 현장 방문자들을 이 곳에 배치된 상담 요원과 청약 자격 등 기본적인 사항은 물론 장래 성장성, 자금마련 계획 등에 대해 꼼꼼히 물어보는 등 큰 관심을 보였다. 특별공급 청약 자격이 안 되는 듯 분양자료만 챙기고 곧바로 현장을 떠나는 이들도 간간히 눈에 보였다. 자녀 1명을 둔 아들 부부를 대신해 신혼부부 특별공급 1순위 청약 접수를 하기 위해 왔다는 50대 중년 여성은 “결혼 후 3년 이내만 신혼부부 1순위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에 이번 보금자리를 놓치면 안될 것 같아 청약을 하게 됐다”면서 “향후 집값 상승 가능성과 아이들 교육 등을 감안해 서울 강남이 가까운 하남 감일 지구를 1지망으로 선택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 청약 경쟁률은 1ㆍ2차에 비해 낮았고 미달도 상당수에 달했다. 3차 보금자리 중 서울지역으로는 유일한 서울 항동은 대부분 마감했지만, 인천 구월은 분양, 분납 임대 대부분이 미달했고, 하남 감일은 분양에 비해 선호도가 낮은 임대가 미달 됐다. 이날 3차 보금자리 사전예약 경쟁률은 신혼부부 특별공급 1순위 708가구에 1,721명이 접수, 2.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 항동(59가구)에 315명이 신청, 경쟁률 5.3대 1로 높았지만 하남 감일(429가구)은 2.5대 1을 기록했고 인천 구월(220가구)은 1.5대 1로 간신히 마감됐다. 3자녀 특별공급(70점 이상)은 이보다 경쟁률이 낮아 1.1대 1을 기록했다. 3자녀 특별공급에는 총 470가구가 공급된 가운데 521명이 청약했다. 지구별로는 서울 항동(39가구)이 1.4대 1을 기록했고, 하남 감일(285가구)이 1.3대 1, 인천 구월(146가구)이 0.6대 1을 기록했다. 이날 미달 물량은 19일 3자녀 전체, 신혼부부 2순위를 대상으로 청약이 진행되며, 22일에는 생애최초 특별공급, 노부모부양 특별공급, 23일에는 일반공급 1순위, 24일 일반공급 2순위, 25일 일반공급 3순위 청약 순으로 진행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