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검찰-현대車 팽팽한 '기싸움'

'MK 오른팔' 채양기 사장 역할에 주목

김재록씨 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과 김씨에게수십억원을 제공한 현대차그룹이 비자금 수사 문제로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고 있는형국이다. 김씨의 대출알선 및 로비 의혹에 초점을 맞췄던 검찰이 현대차그룹을 압수수색한 지 사흘 만에 비자금 문제를 별도로 조사하겠다고 전격 공표한 것은 수사에 비협조적인 현대차를 압박하기 위한 전술로 풀이된다. ◇ 현대차 포위망 좁혀가는 검찰 수사 = 검찰은 그룹 내부 제보 등을 통해 현대차 그룹의 비자금 조성 및 불법 로비 정황을 이미 상당 부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 출신 퇴직 임원으로 알려진 내부자가 글로비스의 회계장부를 포함해서 회사 비자금 조성 행위와 불법 로비 의혹을 방증하는 서류 일체를 검찰에 넘겼고 검찰은 현대차 그룹의 불법 행위 단서를 상당 부분 포착했다는 것. 실제 26일 오전 서울 원효로의 글로비스 본사 압수수색 현장에서는 검찰이 현대차 비자금에 대해 얼마나 상세한 정보가 있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일이 벌어졌다. 중수부 검사와 수사관들이 9층 사장실과 재경팀 사이의 벽 속에 감춰진 비밀금고를 찾아내 현금 뭉치와 양도성 예금증서, 각종 기밀 서류 등을 압수한 것. 대부분 직원들도 몰랐던 금고의 존재 사실을 검찰은 이미 속속들이 꿰뚫고 있었던 덕분에 은닉 비자금 더미를 찾는 작업이 전광석화처럼 진행될 수 있었다. 그러나 내부 제보를 토대로 한 검찰의 정보력에도 불구하고 현대차 비자금에 대한 검찰 수사 곳곳에 장애물이 산적해 있는 상황이다. 구속된 이주은 글로비스 사장은 비자금 조성에 대해 자금담당 이사에게 책임을돌리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고 중국에 출장 중인 자금담당 이사는 연락을 끊은 채귀국을 미루고 있는 게 대표적인 걸림돌이다. ◇ 퇴로 노리는 현대차의 `방패' = 현대차는 수사 초반 검찰의 공세에 호락호락응하지 않는 모습이다. 검찰의 페이스에 말려들기 전에 퇴로를 물색해 살길을 찾으려는 기색이다. 현대차는 26일 갑작스런 압수수색으로 적잖이 당황했지만 차츰 그룹 차원에서검찰 수사에 대비하는 전략을 치밀하게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현대차는 과거 대선자금 수사를 거치면서 수사에 대처하는 나름의 노하우가생긴 데다 피의자 방어권이 크게 확대된 최근 수사 및 재판 환경 변화를 알고 잘 버티면 위기를 넘길 수 있다고 보고 수사에 제한적으로 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업계 일각에서는 현대차와 검찰이 적절한 시점에 `빅딜'을 시도할수도 있다는 관측도 심심찮게 나돌고 있다. 검찰이 현대차 비자금 부분 수사에 대한 협조를 받는 대신, 경영권 승계 등 민감한 현안까지 수사를 확대하지 않을 수 있는 방안을 은밀히 추진할 개연성이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에서는 일단 버텨보다가 상황이 불리하게 돌아가면 비자금 조성 경위와용처를 자백한 뒤 역풍이 총수 일가까지 가는 것을 막아보겠다는 시나리오도 시도될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검찰이 현대차의 `아킬레스건 할 수 있는 경영권 승계 문제와 털면 나오는 먼지와 같은 분식회계 문제에 대해 현단계에선 수사하지 않겠다고 선을 긋고 있는 것도현대차에 일종의 퇴로를 열어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법무 현안에 풍부한 식견을 갖고 회사 주요 업무를 처리해 정몽구 회장의 오른팔로 분류되는 법대 출신의 채양기 사장의 역할이 주목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검찰이 이달 28일 채 사장을 소환한 것은 그룹 전체의 비자금 문제를 추궁하기위한 것이 아니라 일정 부분의 협조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관측도 같은 맥락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런 일련의 행태는 검찰이 현대차측이 겉으로는 팽팽한 힘겨루기 모습을 보이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모종의 거래를 할 수도 있을 것임을 추론케 해준다. 따라서 검찰 수사가 글로비스와 관련한 비자금에 국한할지 그룹 비자금 등 전반의 비리 의혹을 규명하는 쪽으로 확대할지는 현대차 그룹의 태도에 달려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