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국계 PEF 국내시장에 '눈독'

M&A 매물많고 수익·조세 회피 용이등 이점<br>대형 PEF들 투자규모 확대·신규진출 서둘러

국내 금융기관들의 사모투자펀드(PEF) 설립이 붐을 이루는 가운데 막강한 자본력을 앞세운 세계적인 PEF들도 한국시장 진출을 점차 가시화하고 있다. 론스타ㆍ뉴브리지캐피탈 등 기존에 국내시장에 투자했던 PEF들은 그 규모를 늘리고 있으며 콜버그크라비스로버츠(KKR)ㆍ올림푸스캐피털ㆍ칼라일그룹ㆍJP모건에쿼티파트너스 등 다른 세계 굴지의 대형 PEF들도 잇따라 국내시장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이 가운데 일부는 국내 언론으로부터 ‘투기펀드’라는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기는 하지만 자금난 등 기업구조조정의 위기에 직면한 기업을 사들여 가치를 높인 뒤 되파는 ‘바이아웃(buy out)펀드’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들 PEF는 한국시장은 물론 중국ㆍ일본 등 아시아 3국의 인수합병(M&A) 시장을 주 타깃으로 일대 격돌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해외 대형 PEF들이 잇따라 한국시장 진출을 추진 중인 것은 한국 등 아시아 주요 국가의 M&A 시장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인수할 매물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투자수익을 해외로 가져가기 쉽고 조세를 회피할 방법이 많다는 점도 이들 외국계 펀드의 입맛을 당기고 있다. 현재 국내 M&A 시장의 경우 진로를 비롯해 동아건설ㆍ대우조선해양ㆍ대우건설 등 조단위의 대형 물건들이 잇따라 매물로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국내 M&A 시장 규모가 2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금융 전문가들은 당분간 국내 M&A 시장에서 외국계 PEF가 국내 PEF를 앞서갈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국계 PEF가 대규모 자금을 앞세워 파상공세를 펼치고 있는데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제반 규제 등으로 인해 PEF 인수자금을 모으기가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외국계 PEF들이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워 국내 우량기업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국내 금융기관들이 외국계에 대항할 토종 PEF 설립에 박차를 가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