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 전대통령이 선경 유공인수때 영향력 행사"

이같은 증언은 산업자원부가 최근 펴낸 역대 상공.동자부 장관의 에세이집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에 실렸다.최동규(崔東奎) 전동자부 장관은 이 에세이집에서 80년 당시 유공을 선경에 넘기도록 한 것은 당시 노태우 보안사령관이었던 것을 뒤에 알게 됐다고 소개했다. 崔 전장관은 이 에세이집에 기고한 「정유산업의 민영화」에서 지난 94년 전두환(全斗煥)전 대통령과 골프를 치면서 유공 불하과정에 대해 대화를 나누던 중 全 전 대통령이『그때 유공을 선경에 넘기도록 한 사람은 보안사령관인 노태우야. 나도 잘 몰랐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崔 전 장관은 유공 불하 당시 동자부 차관으로 재직중 동자부를 출입하던 정보기관직원과 대화를 나누면서 유공 불하과정에 대해 형평성이 결여된 문제라고 언급,이 내용이 고위층에 보고되자 당시 장관으로부터 『대통령 각하가 진노하면서 차관사표를 받으라고 한다』며 질책을 받았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한편 80년 5~9월 동자부 장관으로 재직한 류양수(柳陽洙) 전 장관은 「공직과 소신」이라는 기고문에서 『80년 6월중순 모처로부터 유공 민영화 검토 제의를 받았으나 당시 유공의 지분 50%를 소유한 걸프사(社)의 지분을 전량 정부가 인수, 국유화하는 것을 최우선책이라는 소신을 밝혔다』고 공개했다. 柳 전장관은 이후 공직자 숙정 바람이 불면서 당시 차관과 국장 1명이 옷을 벗게 됐으며 이 와중에서 고위층으로부터 유공 처리에 대한 독촉을 다시 받았으나 『유공의 민영화는 정당화될 수 없다』는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후 80년 7월 하순 선경의 C회장이 장관실로 직접 찾아와 단도직입적으로 유공을 자기에게 넘겨달라고 요구, 유공 민영화에 대한 고위층 독촉의 막후인물이 C회장이라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전했다. C회장과의 면담 2주후 동자부의 차관과 관계실장 및 국장이 국보위에 불려가 유공 불하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작성, 보고하라는 지시를 받고 왔으나 柳 전장관은 『내가 장관직에 있는 한 유공 불하는 안된다. 책임은 내게 지겠다』고 못박았다고 소개했다. 이후 9월에 제5공화국이 출범하면서 柳 전장관은 3개월이라는 최단명 기록을 세우고 물러났으며 얼마후 유공은 선경에 불하됐다. 정승량기자SCHUNG@SED.CO.KR

관련기사



정승량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