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초과학연구에 2,613억 투입

작년보다 12% 늘려… BT·NT등 특정연구개발비는 22% 줄어

기초과학연구에 2,613억 투입 작년보다 12% 늘려… BT·NT등 특정연구개발비는 22% 줄어 과학기술부는 창조적인 기초과학 연구와 우수인재 양성을 위해 올해 기초과학연구사업 예산을 지난해보다 12.1% 많은 2,613억7,500만원으로 책정, 투입하기로 했다. 이에 비해 생명기술(BT), 나노기술(NT) 등 미래원천ㆍ핵심기반 기술과 공공복지 기술 등을 전략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특정연구개발사업’ 예산은 지난해보다 22.2% 감소한 4,272억6,500만원을 배정했다. 과학기술부는 11일 이 같은 규모의 2005년 특정연구개발사업과 기초과학연구사업 시행계획을 확정, 시행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특정연구개발사업 예산이 지난해보다 줄어든 것은 과기부가 부총리 부처로 승격되면서 타부처와의 중복사업을 해당 부처로 이관했기 때문이다. 시행계획에 따르면 기초과학연구사업의 지원형태별 투자규모는 ▦소규모 집단연구(특정기초연구) 671억원 ▦중ㆍ대규모 집단연구(우수연구집단 육성) 1,169억원 ▦장비 확충 및 사이버 연구 등 연구기반 구축 724억원 등이다. 올해 신규사업으로는 사이버 연구 분야에서 연구자ㆍ연구장비ㆍ시설정보 등을 그리드 기반하에서 초고속연구망과 웹을 통해 활용하는 ‘e-사이언스’ 구축사업과 미국ㆍ러시아ㆍ중국 3개국과 첨단 과학기술 분야를 공동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글로벌 과학기술 협업연구망(GLORIAD)’ 구축사업 등이 포함됐다. 특정연구개발사업의 분야별 투자규모는 ▦BT 1,327억원 ▦NT 643억원 ▦우주항공기술(ST) 1,565억원 ▦차세대 성장동력 155억원 ▦기타(융합ㆍ공공복지기술 등) 582억6,500만원 등이다. BT 분야에서는 관련사업을 탐색(디스커버리), 퓨전(융합), 인프라(기반)와 코웍(협력)으로 구분해 추진하며 신규예산 87억원을 투입해 케미컬 지노믹스, 뇌혈관 한의학 기반 연구, 유용식물소재 추출물 연구 등 유망 분야의 핵심기술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NT 분야에서는 테라급 반도체, 나노소재, 나노메카트로닉스 등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ST 분야에서는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개발, 우주센터 건설과 한국 최초 우주인 배출사업에 착수하며 오는 11월께 다목적 실용위성 2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신기술 융합 분야에서는 단백질 칩, 생물정보학 등 BIT(BT+IT) 기술을 개발하고 나노의약, 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 등 NBT(NT+BT) 기술도 본격화하기로 했다. 구본제 과기부 기초연구국장은 “기초연구사업은 사이버 연구 등 과학기술 인프라 강화에 중점을 뒀으며 특정연구사업으로는 미래 원천ㆍ복합기술, 대형복합ㆍ태동기기술 개발, 공공연구장비 및 기반육성사업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수문 기자 chsm@sed.co.kr 입력시간 : 2005-01-11 19:54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