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7월 8일] '사회통합' 중시한 청와대 조직개편

이번 청와대 조직 개편에서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사회통합과 '친서민 중도실용정책'을 위한 진용을 대폭 강화했다는 점이다. 시민사회를 담당하는 사회통합수석과 미래전략기획관을 신설하고 사회정책수석을 서민정책을 담당하는 사회복지수석으로 개편한 것은 그동안의 경제위기 극복을 바탕으로 앞으로 통합과 친서민정책에 국정의 우선순위를 두기 위한 이명박 대통령의 의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조직 개편 작업이 마무리됨에 따라 청와대 수석인사와 총리 후임 인선 등 여권의 인적 개편 작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대통령실장, 1정책실장, 8수석 체제를 유지하면서 사회통합수석을 신설한 것은 적절하다는 평가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줄곧 제기돼온 소통부족과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 방식 등에 대한 일부의 비판을 완화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낳고 있다. 6ㆍ2지방선거에서 여당이 참패한 것도 이 같은 비판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국정운영 방식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번 청와대 조직 개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통합수석과 사회복지수석의 책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사분오열된 사회를 통합하고, 경제가 회복됐다고는 하지만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는 서민생활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세대교체를 통해 국민과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서민의 가려운 곳을 긁어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청와대 조직을 개편하는 것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조직은 운영하기 나름이며 이는 사람에게 달린 문제다. 인사가 만사란 말이 있듯이 참신하고도 화합형의 인사를 기용하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측근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변화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국민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인사를 발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종시 문제와 4대강 사업 등을 둘러싸고 갈라진 국론을 하나로 묶어내는 일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번 청와대 조직 개편과 이에 뒤따를 개각이 이명박 정부 후반기 국정이 원만하게 이뤄지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