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분양가 상한가 폐지 앞두고 인천경제구역 '기대반 우려반'

건설업계 "부동산 경기 회생"<br>수요자들 "집값 상승 불보듯"

오는 5월에 인천경제자유구역에 대한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업계와 수요자들의 반응이 기대와 우려로 엇갈리고 있다. 28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업계는 분양가 상한제 폐지를 건설, 부동산 경기를 살릴 수 있는 호기로 보고 있다. 외국인이 거주할 수 있는 고 품격의 주거시설 건축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 내 건설업계는 고급 주택을 지을 수 있고 그 만큼 분양가도 책정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또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될 경우 상한제 적용에 따른 사업성 부족으로 분양계획이 미뤄진 송도국제도시 '센트럴파크 Ⅲ'등 고급주상복합 건설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분양가 상한제 폐지가 건설업계의 모든 고민을 한꺼번에 해소해줄 것이란 기대는 금물이라는 게 지역 부동산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침체된 부동산 시장 상황에서 분양가를 대폭 인상할 경우 미 분양 이라는 늪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가장 인기가 있던 송도국제도시도 10% 안팎의 분양가 인상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송도국제업무단지 개발사업자인 NSIC(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가 분양가 상한제 폐지와 상관없이 송도국제도시 F블록 아파트 분양을 서두르는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송도국제도시 국제업무단지 개발사업 시행자인 NSIC측은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되더라도 현재 분양가 보다 높게 책정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지금 같은 상황에서 분양가 상한제 폐지는 큰 메리트가 없다"고 말했다. 수요자들은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되면 분양가 인상이 불가피 하고, 기존의 아파트 가격 인상으로 옮겨 붙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현재는 상황이 좋지 않아 기존 아파트의 급격한 가격 인상은 없겠지만 상황이 호전되면 분양가 인상은 불 보듯 뻔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 내 P부동산 관계자는 "분양가 상한제가 폐지되면 아파트 분양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겠지만 분양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면서 "당분간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지만 실수요자 차원에서 저가 아파트를 찾아보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 국토해양위는 최근 경제자유구역 내 외자유치 촉진과 관련이 있다고 인정되는 아파트에 대한 분양가를 제한하지 않기로 결정, 법사위와 국회 본회의 등을 거쳐 오는 5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