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5ㆍ23 조치후 강남권 주거용 거래물건 50%선 줄어

`5.23조치`이후 서울 강남권 주거용 거래물건 수가 지난달에 비해 50% 정도가 감소 하는 등 부동산의 시장기능 상실이 우려될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9일 서울경제신문사가 서울 강남ㆍ송파ㆍ강동지역 등의 6월1일부터 7일까지 주거용 물건 검인계약서 발부현황을 집계한 결과 이 기간 동안 평균 300~500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달인 5월에 1주일에 평균 800~900건 정도 검인계약서가 발부된 점을 감안해 볼 때 절반 정도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취ㆍ등록세 등을 납부키 위해선 반드시 계약서에 검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검인계약서 발부 현황은 해당 지역의 거래 현황을 살펴보는 주요한 통계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대책 이후 거래 50% 정도 감소 = 강남구는 1일부터 7일까지 총 543건의 주거용 물건에 대한 검인계약서가 발부됐다. 유형별로는 ▲단독주택 10건 ▲다가구 13건 ▲다세대 27건 ▲연립 35건 ▲아파트 449건이다. 아파트 449건 중 재건축 신탁등기 분을 제외한 순수 매매건은 100건 미만이라는 게 구청의 분석이다. 구청의 지난 5월 1주일간 평균 주거용 물건 검인계약서 발부건수는 900건이었던 것에 비하면 40% 정도 줄었다. 송파구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5월 한달간 주거용 물건의 검인계약서는 총 3,594건. 1주일간 평균 890여건이 이뤄진 셈. 그러나 6월1일부터 7일까지 ▲단독 14건 ▲다가구 6건 ▲다세대 101건 ▲연립 5건 ▲아파트 349건(재건축 신탁등기 포함) 등으로 475건에 불과했다. 강동구도 최근 1주일 동안 주거용물건 검인계약서는 366건이 발부 됐는데 이는 지난 5월 마지막 주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이다. ◇현 시장가격은 무의미 = 흥미로운 것은 이들 강남권 관할 구청에 따르면 5월 주거용 물건의 검인계약서 발부건수가 지난 1~4월에 비해 늘어났다는 것이다. 이는 강남권 투기지역 지정 등 정부가 강도 높은 규제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자 투자세력의 상당수가 이에 앞서 5월에 물량 털어내기에 나섰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현재 강남권 시장의 경우 ▲실수요자 ▲급하게 물건 처분에 나설 필요가 없는 투자자 등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이다. 강남권 거래 실종은 5.23 대책도 한 몫을 하고 있지만 매수자는 가격이 더 떨어지기를 기대하며 소극적 자세를 취하고 있고, 매도자는 단타차익을 목적으로 한 세력이 빠지면서 물건을 내놓지 않고 있는 것도 한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시장에 형성된 가격은 무의미 한다는 게 일선 중개업소의 공통된 반응. 송파구 신청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5.23 대책 이후 거래가 실종 상태인 데다 집주인 10명 중 간혹 1~2명이 급매물을 내놓고 있는 상태”라며 “한 두건 나온 급매물이 마치 정가인 것처럼 인식되고 있는 데 엄밀히 말해 지금의 시세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가격이다”고 설명했다. <이종배기자, 이철균기자 ljb@sed.co.kr>

관련기사



이종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