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휴대폰 오래 통화하면 스트레스 받아"

숭실대 배명진 교수팀 "주파수 범위 매우 좁기 때문"

휴대폰의 통화음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영역 가운데 매우 좁은 범위에 한정돼 있어 휴대폰으로 오래 통화하면 답답함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숭실대 소리공학연구소 배명진 교수팀은 15일 휴대폰의 통화음에 대한 소리분석결과 휴대폰의 주파수범위는 300∼2천500Hz(헤르츠) 정도로 매우 좁은 데다 실제로는 1천Hz 근방에 소리가 몰려 답답하게 막힌 소리가 들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의 청각은 보통 20∼2만Hz의 소리를 들을 수 있으나 들리는 소리의 주파수범위가 좁아지면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배교수에 따르면 유선전화의 경우 300∼3천500Hz의 소리를 전달해 의사소통에 별 무리가 없으나 휴대폰이 전달하는 주파수 범위는 1천Hz 근방에 몰려 있어 답답한소리가 된다. 배교수는 "휴대폰은 한정된 주파수 안에 이용자를 가급적 많이 수용하기 위해서 유선전화보다 음성을 4배 이상 압축해 전송한다"며 "이 때문에 휴대폰에서는 상대의 목소리를 잘 구분하기 어렵고 특히 통화음이 막힌 소리로 전달돼 답답함을 느끼게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신사업자들은 휴대폰 가입자들에게 적어도 유선전화기 소리의 주파수범위만이라도 제공해줄 수 있는 신기술의 연구개발을 시급히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