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햇볕정책 비합리성 전작권 반환등 강력 비판… 대표적 보수 논객

■ 송대성 소장은<br>합참 근무중 연구한 '배달민족 군축안'… 국방부 군축문제 '배달계획'의 토대


경남 합천군 대병면 하금리 산골의 가난한 한문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거의 55년간 매일 일기를 적는 습관이 있다. 이 습관은 그가 오늘까지 각종 기고나 연설을 하는 바탕이 됐다. 광복 30주년인 지난 1975년 KBS 주관 해방둥이 수기모집에 응해 그가 쓴 ‘패기만이 인생을 영원하게 만든다!’가 우수작에 당선돼 KBS라디오를 통해 며칠간 연속낭독된 일도 있다. 공군에서는 이 수기를 장병들의 정신교육용 소재로 수년간 사용했다. 공군사관학교에서 6년간 교수생활을 하면서 많은 일화들을 남겼다. 우수한 공사후배들을 모집하기 위해 전국을 돌면서 한번 강단에 서면 평균 3∼4시간 목에서 피를 토하는 연속강연을 했다. 1970년대 초중반 전국 고등학교 젊은이들을 열광하게 한 ‘해골바가지 연설’ 역시 유명한 일화다. 서울대 상대나 법대가 고등학생들의 최고의 선망 대학이 되면서 시들해진 공군사관학교의 인기를 되살린 연설이다. 송 소장은 한반도 역사에 등장한 인물들을 네 종류의 해골바가지로 구분해 살아서도 죽어서도 위대한 사람이 되고 싶지 않느냐고 역설하며 학생들을 감동시켰고 1973~1975년 공군사관학교에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의 지원을 끌어올린 효과를 거뒀다. 그는 미국 미시간대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귀국, 합동참모본부에서 1년간 근무했다. 합참 근무 중 그가 연구한 ‘배달민족군축안’은 그 당시 대통령에게 보고된 뒤 현재 국방부에서 남북한 군축문제를 다루고 있는 ‘배달계획’의 토대가 됐다. 1985년 당시 육ㆍ해ㆍ공군 사관학교 출신 장교 중 외국 명문대학에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은 점 때문에 기무사에 발탁됐다. 그로부터 10년 반 동안 북한정권 실체, 북한의 대남전략전술, 방첩업무, 방산업무, 보안업무 등 국방안보와 관련된 다양한 공부와 근무경험을 쌓으면서 1988년 대령, 1992년 장군으로 진급했고 기무사 참모장을 최종 보직으로 1996년 1월 전역했다. 전역한 해 3월 세종연구소에 연구위원으로 선발된 뒤 국민의 정부 및 참여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비합리성 및 전작권 전환 결정 등을 가장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에 따라 많은 어려움들을 겪으면서도 조금도 굴하지 않는 보수논객으로 평가 받고 있다. 지난해 1월 세종연구소 소장으로 취임했다. 그 이전까지 진보성향의 연구원이 다수를 차지했던 세종연구소의 ‘보수진영 소장’이지만 정치적 중립과 다양한 가치를 존중하는 연구소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약력 ▦1945년 경남 합천 ▦1973년 공군사관학교 교수 ▦1984년 미 미시간대 정치학 박사 ▦1996년 국군기무사령부 참모장 ▦세종연구소 정책연구실 실장 ▦국무총리자문기구 정책평가위원회 민간위원 ▦2001년 국제정치학회 부회장 ▦2009년~현재 세종연구소 소장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