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제 신용평가기관들 한국등급변경 저울질

무디스, 이달 전망발표 주목

국제 신용평가기관들이 일제히 한국경제의 신용등급 변경을 ‘저울질’하고 있다. 3일(현지시간) 뉴욕 월가(街)에 따르면 지난 2월 신용등급 연례협의를 위해 한국을 방문한 무디스가 이달 한국경제 신용등급 전망을 발표할 예정이며 스탠더드앤푸어스(S&P)도 이달 말 한국 신용등급에 대한 견해를 내놓는다. 또 S&P는 올해 중반께 재정경제부와 한국은행 등을 방문, 내수소비 회복과 외환보유액, 금융기관 건전성, 북한핵 문제 등 한국경제의 현황과 여건을 집중 점검해 신용등급 판단의 기초자료로 삼을 계획이다. 이처럼 국제 신용평가기관들이 한국경제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은 2002년 신용등급을 고정시킨 이후 수출진작과 내수회복으로 한국경제 성장률이 회복되는 등 희망적인 경제지표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월가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실제 토머스 번 무디스 부사장은 “한국경제의 발목을 잡았던 가계부채와 내수부진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며 북한핵 문제가 별다른 마찰 없이 해결된다면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할 수도 있다”며 한국경제에 대한 낙관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존 체임버스 S&P 이사도 “한국경제가 회복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개인적으로 올해 4%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할 수도 있다고 본다”는 희망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하지만 대다수의 월가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 보유와 6자 회담 불참 선언으로 한반도의 지정학적 불안감이 고조되고 미국과 북한의 물리적 충돌이 야기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신용평가기관들이 한국의 신용등급을 높일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재경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들 신용평가기관이 한국경제에 대해서는 분명히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하고 있지만 북한핵 등 ‘코리아 리스크’가 상존하는 점을 들어 신용등급을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