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성융광전 "2~3년내 태양광 세계 톱10 진입"

성융광전 회사 탐방…다음달 15일 코스닥 상장 예정



지난 19일 중국 장쑤성 장지아강시에 있는 성융광전투자유한공사(롱에너지) 공장. 종업원들이 태양광을 흡수하는 전지(셀) 하나하나를 붙여 거대한 모듈(판)로 만드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다른 곳에선 로봇 기계가 대신 할 작업을 이 곳에선 주황색 유니폼을 입은 직원들이 직접 도맡아 하고 있었다. 불량률을 줄이기 위해서다. 이규성 성융광전 회장은 “셀을 모듈화 하는 과정을 손으로 직접 하면 기계로 할 때보다 불량률이 10분의 1로 줄어든다. 여기서는 인건비가 저렴해 수작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정식 수교가 이뤄지기 전인 1987년 중국에서 섬유 사업으로 시작한 이 회장은 2005년부터 태양광에 주목하기 시작해 불과 5년 여 만에 회사를 중국 내 5위 태양전지 모듈업체로 키웠다. 다음달 15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는 성융광전의 임직원은 1,400여명에 달한다.


성융광전은 태양전지의 기본이 되는 잉곳에서 최종적인 모듈까지 일관생산체계를 갖췄다. 현재 국내 상장된 태양전지 업체 중 원스톱 생산 체계를 갖춘 기업은 대기업인 현대중공업이 유일하다. 이 회장은 “원스톱 생산 체제 하에서는 각 공정간 마진을 흡수할 수 있어 별도 공정 체제로 운영되는 회사에 비해 원가 경쟁력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여기에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를 이용해 주요 공정을 수작업으로 하는 점도 품질 경쟁력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부분. 특히 기계를 이용, 판박이처럼 일관되게 찍어내는 대신 고객이 원하는 대로 맞춤형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성융광전은 이 같은 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지난해 202.3%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 중국의 주요 태양광 모듈 업체 가운데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 이 회장은 “태양광 시공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는 독일 업체 에스앤솔라 등과 거래를 하고 있을 정도로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 받았다”고 전했다.

성융광전은 태양광 수요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럽이 최근 재정위기 때문에 유로화가 폭락하면서 올해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는 안좋은 상황이지만 매출은 1,800억원을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회장은 “올해 말까지 세계 태양광 업체 10위권 안에 진입하는 것이 목표”라며 “최근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 있어서 내년에는 매출액 4,000억원을 달성할 수 있을것”이라고 강조했다.

많은 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탓에 중국 당국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는 점은 회사의 또 다른 강점으로 꼽힌다. 현재 성융광전은 중국 정부에서 은행 보증을 맡고 있고, 태양광 업체에서 가장 중요한 전력 공급 역시 정부 책임 하에 이뤄지고 있는 상태다. 이 점은 한국 기자들의 방문 소식에 비엔 장지아강시 부시장이 직접 찾은데서도 잘 나타난다. 비엔 부시장은 “성융광전은 장지아강시에 있는 중소 기업 가운데 가장 성장성이 높은 회사”라면서 “회사 운영에 필요한 부분들을 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