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시민단체 “미 자동차 불매운동 전개”/슈퍼301조 발동 반응

과소비추방범국민운동본부(사무총장 박찬성) 회원 50여명은 2일 하오 2시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앞에서 「슈퍼301조 통상압력 규탄대회」를 갖고 『96년 대미 무역적자가 1백16억 달러에 이른 상황에서 미국이 또다시 슈퍼301조라는 강압적인 수단으로 한국시장 개방을 요구하는 것을 더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시민단체와 연대해 미국산 자동차와 담배 등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여나가겠다』며 『O­157, 리스테리아균에 오염된 미국산 쇠고기 전량회수 및 수입금지 운동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한국에 대해 통상보복법인 슈퍼301조를 발동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국내 사회단체와 시민들은 2일 「미국의 이번 결정은 힘을 앞세운 오만한 행동」이라고 규정하고 우리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유종성 사무총장은 『현재 쟁점이 되고 있는 미국의 수입관세율 인하와 세제개편 주장은 부당하다』며 『자국의 이익만을 챙기기 위해 입법부의 고유권한인 세제개편 문제까지 제기하는 것은 명백한 내정간섭』이라고 말했다. 민노총의 한 관계자는 『수입 미국차의 소비층이 특정계층에 한정돼 있는 등 과거 담배시장 개방문제와는 사안이 다른 만큼 미국제품 불매운동이라는 사회운동으로까지 발전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과거처럼 미국에 일방적으로 끌려 다녀서는 안될 것』이라며 정부의 일관성 있는 대책을 촉구했다.<박민수 기자>

관련기사



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