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 주택담보대출 실태점검"

금감원, 강남등 투기지역 대출실적 파악<br>은행권, 대체상품 활성화등 대책마련 착수


정부가 투기지역에 대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축소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금융감독당국이 실태점검에 나섰다. 아울러 시중은행들도 오는 17일 대통령 보고에서 주택담보대출 규제방안이 확정될 것으로 보고 대책마련에 착수했다. 이와 관련, 김중회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은행별 주택담보대출 실태점검을 실시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며 “지역별 주택담보대출 실적을 잡기는 어렵지만 서울 강남 지역과 투지지역 등에 대한 대출실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윤증현 금융감독위원장도 지난 13일 간부회의에서 정부의 종합부동산대책에 관련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은행권은 정부가 주택담보규제 대상으로 서울 강남ㆍ서초ㆍ송파와 용인ㆍ수지ㆍ분당 등에서 이뤄진 담보대출이 부동산 가격 급등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검증작업도 벌이고 있다. 이와 함께 일부 은행은 주택담보대출 감소가 불가피해짐에 따라 신용대출 등 대체대출상품 활성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권영건 국민은행 신용기획팀장은 “최근 정부의 기류를 보면 투기지역에 대한 LTV 규제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 방침이 정해지면 즉각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나은행의 한 관계자는 “어차피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실시되면 우량대출을 찾기가 어려워 부동산담보대출은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은행 입장에서는 자산증가를 게을리할 수 없는 만큼 신용대출을 비롯한 대체상품 개발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계 일부에서는 주택담보대출 규제조치가 자칫 서민경제에 주름살을 드리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투기지역에 대한 투자가 은행대출을 기초로 이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막상 LTV 규제가 강화되면 서민들의 내 집 마련만 어려워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