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국산차 리콜 시정률 80%대 초반 그쳐… 수입차 보다 5~10%P 밑돌아

"체계적 사후 관리에 정부도 적극 나서야" 목청


현대·기아자동차, 르노삼성차, 지엠대우 등 국산차 업체의 리콜 시정률이 벤츠, BMW, 볼보 등 수입차 업체에 비해 5~10%포인트 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차 업체의 사후 고객 관리가 좀 더 체계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는 주장과 함께 정부가 적극적으로 리콜 시정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0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 2008년 현대차, 기아차, 르노삼성차, 지엠대우 등 국산차 4개 업체에서 리콜을 실시한 10개 차종 2만6,231대 중에 실제 결함을 시정한 차량이 84.1%인 2만2,056대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수입차 업체의 차량은 4,524대 중에 4,291대가 리콜을 실시해 94.8%의 시정률(이륜차, 트랙터 등 제외)을 기록, 국산차 업계와 10%포인트 가량 차이를 보였다. 업체별로 보면 르노삼성차가 72.0%로 가장 낮았고 현대차가 83.2%, 기아차가 83.8%, GM대우가 88.8%를 기록했다. 반면 수입차 업체는 지엠코리아(캐딜락)가 84.9%, BMW코리아가 88.3%로 80%대의 시정률을 보였을 뿐 크라이슬러코리아 96.6%,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97.1%, 볼보자동차코리아(볼보, 재규어) 98.1%, 한불모터스(푸조) 99.5% 등이 모두 90% 중반을 넘었다. 포르쉐는 132대가 모두 리콜을 받았다. 지난해 수입차 업체의 리콜 시정률은 86.3%대로 크게 떨어졌지만 시정률이 가장 낮은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45.6%)를 제외하면 89.9%로 국산 4개사의 83.7%에 비해 높았다. 국산차 업체 중 르노삼성차가 93.6%로 크게 올랐지만 현대차(81.9%), 기아차(88.1%), 지엠대우(81.0%) 등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처럼 국산차들의 리콜 시정률이 떨어지는 것에 대해 한 국산차 업체의 관계자는 "법에 정해진대로 일간지 공고와 우편 연락을 하고 있지만 리콜 대수가 수입차들에 비해 많고 안전에 큰 문제가 없을 경우 넘어가는 경우도 잦아 시정률이 떨어진다"며 "수입차는 상대적으로 고가여서 차량 소유주들이 관리에 더 신경을 쓰는 것도 원인"이라고 말했다. 자신들은 할 만큼 했지만 차량 소유주의 태도가 문제라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임기상 자동차시민연합 대표는 "국산차 업체는 적극적으로 소비자를 보호하려는 의지가 부족하다"며 "차를 팔 때처럼 의지를 갖고 하면 리콜 시정률이 100%도 나올텐데 팔 때만 신경을 쓰고 팔고 나면 나몰라라 하니 이런 결과가 나온다"고 주장했다. 또 일부에선 자동차 결함은 차량 소유자 뿐만 아니라 국민 다수의 안전에도 문제가 되는 만큼 차량 리콜을 책임지는 국토해양부가 리콜 시행을 제작사에만 맡겨두지 말고 시정룰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