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TF, 주총앞두고 각종 의혹설에 곤혹

KTF가 주주총회를 앞둔 예미한 시기에 모회사인 KT와의 부당 내부거래, 정부기관 로비설 등으로 고심하고 있다. KTF는 17일 한나라당 권영세(權寧世) 의원이 KTF의 전략기획본부 경영전략실 내부문건을 입수, KT와 KTF의 부당 내부거래 및 직원들을 통한 (단말기) 강제 판매행위, 정보통신부 및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에 대한 로비설 등을 주장한 데 대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KTF 경영진은 다음달 23일로 예정된 주총에서 지난해 10월 취임한 조영주 대표이사 사장의 등기이사 재선임건이 상정되는 등 주요 사안이 논의될 예정이어서 이같은 각종 의혹설에 적잖은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이에 따라 KTF측은 우선 권 의원측의 주장에 대해 적극적인 해명과 함께 이 문건이 외부로 유출된 경로와 배경에 대해 조심스럽게 조사를 벌이는 등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일단 문건의 내용과 관련, 2003년 적극적 세무조사 대응을 위해 회의비 및 접대비 80억원을 배정했다는 데 대해 "특별히 세무조사 대응을 위해 별도 예산을 편성한바 없다"고 강력 부인했다. KTF는 "일반적으로 세무조사를 받게 되면 회의 행사비 및 접대비는 주요 점검대상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 분야 예산과목에 대해 관련자료를 철저히 준비한다는의미로 보고서에 적시한 것"이라면서 "이 항목이 마치 세무조사 대응을 위한 필요비용으로 인식돼 오해를 불러 일으킨 것"이라고 해명했다. 실제로 2003년초 KTF의 연간 편성 예산 중 회의행사비는 65억원, 접대비는 15억원 등 총 80억원이었나 집행 금액은 회의행사비 58억원, 접대비 14억원 등 총 72억원이었다고 밝혔다. 통신위원회와 공정위원회 조사건 중 일부건을 저지했다는 등의 로비설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설명 및 검증 자료 제출을 통해 소명한 것이 인정돼 사건화 되지 않은내용을 내부 보고하는 과정에서 다소 과장되게 표현한 것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이 같은 로비결과 2003년 8월로 예정된 세무조사가 2004년 2월로 연기됐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2003년 3월 KTF가 KT아이컴을 합병한 이후 물리적으로 제반 자료 및증빙서류 등이 정리되기 힘든 상황에서 관계기관에 적법한 절차를 통해 연기 신청,승인을 받은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공정위와의 접촉으로 공정위 각 국의 우호세력 확보, 특히 공정위 출장시 동행및 지원 등으로 유대관계 강화한다는 대목에 대해서는 "공정위 관련 부서를 대상으로 해당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차원에서 정상적인 업무활동을 한 것"이라며 회사와 업무 연관이 없는 출장 등에 불필요하게 동행한 적은 결코 없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KT.KTF가 규제기관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개통 및 실적 인정을 이원화한다 ▲KT PCS 재판매 견제에 대해 SKT와 LGT간 공조 추진시 LGT를 압박한다는 부분에 대해 "실무자 차원에서 검토된 내용에 불과하며 실제 실행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또 KT PCS 재판매의 인적 판매 형태에 대해서는 "통신위원회로부터 조사 및 시정명령(과징금 등)을 받은 내용"이라면서 "현재는 시정이 완료된 상태"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KTF는 이 같은 해명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이미지 실추, 최고 경영진의거취가 걸린 주총 시기 임박 등에 따라 향후 대응방향과 수위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내부문건의 유출경위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짚히는 대목'이 있다"면서도 `심증은 있으나 물증'이 없는 데다 자칫 명예훼손 등의 우려에 따라 드러내놓고 밝히지 못한 채 사태추이를 예의주시하며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문제의 KTF 내부문건이 정보브로커 손에 들어가 시중에 나돌기도 했다는 소문도 들리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