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1월 19일] 대구의 성장동력 테크노폴리스

요즘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직접 지자체 광고모델이 돼 공장을 유치하고 지방 특산물을 광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방자치제가 정착됨에 따라 각 지역마다 지역발전을 위한 발걸음이 상당히 적극적으로 진행되는 모습이다. 현재 대구ㆍ경북에서는 테크노폴리스와 경제자유구역의 각종 사업, 그리고 대구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지자체가 산업단지 조성에 적극적인 이유는 지역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기업이 다른 곳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고 지역의 인구감소를 최소화하려면 공단 조성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단순 논리로 보면 지금도 전국적으로 공장부지가 남아도는 상황에서 테크노폴리스나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과연 정상적으로 진행될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없지 않다. 관련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 120곳의 산업단지가 조성 중이거나 조성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대구 테크노폴리스는 계획단계에서부터 산업ㆍ주거, 그리고 연구시설이 함께 들어서는 미래지향적인 '복합단지'여서 경쟁력이 있음을 확신한다. 그동안 국내에서 조성된 일부 복합단지의 경우 연구기관 유치에 어려움을 겪으며 빛을 보지 못하기도 했다. 하지만 테크노폴리스 연구단지에는 이미 착공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내년 개원 예정이며 국립대구과학관도 내년 7월 개관을 목표로 최근 착공했다. 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구분원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구분원도 연이어 공사에 들어가게 된다. 한국기계연구원도 입주가 계획돼 있다. 테크노폴리스에는 또 연구단지와 연계된 다양한 교육시설이 들어서도록 계획돼 자녀교육 문제도 해결된다. 대구시도 테크노폴리스가 대구의 새로운 성장동력 역할을 하도록 각종 간선시설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대구 도심까지 고속으로 연결시키는 진입도로도 올해 착공을 위해 발주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에서도 지역발전에 기여할 유망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곧 좋은 결실이 기대된다. 테크노폴리스가 대구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도록 대구시, 경제자유구역청 그리고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더욱 힘을 모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