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금융권 오다가다]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돌다리도 두드려봐야"

공적자금을 투입한 지 10여년 만에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에 시동을 건 정부가 매각주관사 선정부터 신중한 모습이다. 첫 단추를 잘 꿰야 민영화 작업을 잡음 없이 잘 마무리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예금보험공사는 지난 3일 우리금융 매각주관사를 선정하기 위한 입찰제안서(RFP)설명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예보는 우리금융 민영화를 통해 최대한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매각전략과 추천할 인수후보군, 향후 적합한 경영구도 등을 소개하는 주관사를 선정하겠다고 방침을 밝혔다.

특히 예보는 매각주관사 선정에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이해상충’을 꼽았다. 우리금융과 경쟁 관계에 있는 다른 금융지주사의 계열사가 매각주관사에 선정될 경우 인수후보들의 정보 등 우리금융 민영화 내부정보가 새어나가 매각주관사의 지주사나 관계사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정부는 매각주관사 선정부터 이 같은 문제가 불거질 경우 첫 단추를 잘못 뀄다는 여론의 비판이 불거질 수 있어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관련기사



예보의 한 관계자는 “이번 설명회에서 RFP제출시 우리금융과 이해상충 여부가 있는지를 밝히고 그 사유와 법률적 해결방법을 제시하도록 했다”며 “심사위원들이 주관사 선정 시 이 같은 내용을 충분히 인식하고 공정한 민영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방침을 정했다”고 말했다.

예보는 매각주관사 후보들이 우리금융 민영화에 가장 핵심적인 사안들이 무엇인지, 확실히 인식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핀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각 주관사 후보 별 매각추진 전략과 향후 경영구도 등을 인수 후보들에게 어떻게 제시하고 이끌어 낼 지 등을 중심으로 한 ‘발표회(PT)’ 도 갖기로 했다.

설명회에 참가한 한 금융회사의 고위관계자는 “주관사 후보들마다 각자의 이해상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법률적인 해석과 방안을 제시할 지가 주관사 선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 같다”고 언급했다.

한편, 매각주관사 후보들은 이달 23일까지 예보에 RFP를 제출해야 한다. 심사위원들은 다음달 중 심사를 거쳐 국내 2개사, 해외 1개사를 최종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게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