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년 세계휴대폰 3대중 1대 국산

삼성 1억대, LG 7,000만대 팩택 3,000만대등 2억1,000만대 전망

내년 세계휴대폰 3대중 1대 국산 삼성 1억대, LG 7,000만대 팬택 3,000만대등 2억1,000만대 전망 국내 휴대폰 업계가 생산 판매하는 단말기 수가 내년 세계 휴대폰 시장의 3분의1 가량을 차지할 전망이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 팬택계열 등 휴대폰 업계 '빅3'가 내년 국내외 시장에 공급할 단말기 수는 최소 2억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VK와 이노스트림, 벨웨이브, 세원텔레콤, SK텔레텍 등 중견업체들의 단말기 공급물량을 합칠 경우 국산 단말기 수는 최소 2억1,000만대로 약 7억 대로 추정되는 내년 세계시장의 30% 선을 차지할 것으로 관측됐다. 세계 3위 휴대폰 업체인 삼성전자는 올 한해 약 8,600만대의 단말기를 공급하는 데 이어 내년에도 돌발변수가 없는 한 최소 1억대를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북미ㆍ유럽 등 주요 해외시장에서 노키아, 모토롤러 등 주요 단말기 업체들과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삼성전자의 단말기 공급물량도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LG전자는 올해 WCDMA(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 단말기 판매호조로 4,300만~4,600만대, 내년에는 7,000만대의 휴대폰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특히 홍콩의 세계적 통신사업자인 허치슨과 프랑스 오렌지에 이어 내년에는 영국 보다폰, 독일 T모바일 등에도 단말기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팬택계열은 올해 세계시장에 약 2,000만대의 단말기를 판매하는 데 이어 내년에는 3,000만대의 휴대폰을 판매할 계획이다. 팬택 관계자는 "러시아 등 신흥시장 공략에 주력하는 한편 유럽 등지의 WCDMA 단말기 시장에도 본격 진출, 공급물량을 크게 늘려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 통화방식인 GSM 단말기 전문업체인 이노스트림 등도 내년도 단말기 판매대수를 200만~300만대로, SK텔레텍은 150만대로, VK는 300만~400만대로 크게 늘려잡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내년 휴대폰 시장은 해외시장 여건을 감안할 경우 금년보다 약 10% 확대된 7억대에 달할 전망"이라며 "이 중 국내업체들은 약 3분의1 가량을 공급, 휴대폰 강국의 이미지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문섭 기자 clooney@sed.co.kr 입력시간 : 2004-10-24 16:3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