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금융 매각 과점주주 구조가 해답"

이팔성 회장 "10%전후 지분 분산해 매각 하는게 바람직"


이팔성(사진)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정부의 우리금융 민영화 재추진 방향에 대해 "과점주주 지배구조가 해답"이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22일 서울 삼성동 COEX에서 개최된 '2011년 그룹 경영전략회의 및 원두(OneDo) 페스티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고 "(우리금융이 과점주주 지배구조를) 원한다고 해서 다 되는 것은 아니지만 세계에서 앞서가는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거버넌스(지배구조)처럼 가는 게 좋지 않겠느냐"며 "금융지주회사법과 금산법 등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과점주주 지배구조 외에) 다른 방식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대형 금융회사나 KB·신한·하나금융 등 국내외 주요 금융회사들의 거버넌스는 대개 10% 전후의 지분을 분산해 소유하는 방식"이라고 말해 정부 지분을 여러 주주들에게 나눠 파는 과점주주 분산 매각 방식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이 회장은 정부의 민영화 중단과 조기 재추진 입장에 대해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우리금융이 기대했던 수준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며 "정부는 경쟁입찰이 돼야 하고 경영권 프리미엄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시장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우리금융이 확보한 9조원대 투자금에 대해 이 회장은 "우리금융의 미래 성장을 믿고 민영화를 위해 투자한 투자자들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잘 관리하겠다"며 "앞으로 정부안이 나오면 투자에 협조할 것이고 우리금융을 성장시키기 위해 더욱 좋은 주주들을 모시도록 노력하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우리금융은 이날 경영전략회의에서 2011년을 '글로벌 리딩 금융그룹 도약의 원년'으로 정하고 ▦자산클린화 및 리스크관리 강화 ▦민영화 이후 그룹 운영시스템 재구축 ▦수익기반 확대 및 수익성 제고 ▦윤리경영과 원두 혁신 지속 추진 등을 내년도 중점전략과제로 설정했다. 이 회장은 "그룹의 여신 문화 혁신과 각 계열사별 무수익자산(NPL)에 대한 대대적인 감축 대책을 실행, 내년 NPL을 현재의 절반 이하로 낮출 것"이라며 "원두 혁신의 추진과 고객가치 중시경영, 윤리경영을 실천해 글로벌 리딩 금융그룹으로 도약할 수 있는 토대를 확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